IRA 돌파구 찾기? 한·중·일 배터리 합종연횡 빨라진다

입력
2023.08.01 07:00
11면
SK넥실리스, 도요타통상과 북미 JV 설립 추진
말레이·폴란드 이어 연산 25만톤 생산체계 성큼
IRA 우회 전략 펴는 中 기업도 한국 기업과 맞손


SKC가 일본 도요타통상과 손잡고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북미 이차전지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낸다. 조 바이든 미 행정부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발 빠르게 대응해 글로벌 경쟁에서 밀리지 않으려는 시도다. 반면 미국의 공격 목표인 중국의 배터리 소재 업체들도 돌파구를 찾기 위해 한국 업체들과 적극 손잡으려고 해 한·중·일 세 나라 업계의 합종연횡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다.

SKC의 이차전지용 동박사업 투자사 SK넥실리스는 28일 일본 도요타그룹 상사인 도요타통상과 북미 시장에서 동박을 생산·공급하기 위한 합작회사(JV) 설립 검토를 위한 업무 협약식을 가졌다고 31일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동박 시장은 전 세계에서 한국 기업들이 이끌고 있다"며 "국적을 가리지 않고 시장의 선구자들이 협업을 꾀하는 사례"라고 설명했다.

북미 지역의 전체 배터리 생산량은 2025년부터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현재 이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동박은 1년에 1,000톤(t)도 안 되기 때문에 공급 부족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는 게 SK넥실리스 측의 예상이다.

SK넥실리스는 북미 지역에 생산 시설을 갖추게 될 경우 올해 가동을 시작하는 말레이시아와 내년 완공 예정인 폴란드 공장을 포함해 연간 25만 t의 글로벌 생산체제 구축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IRA 돌파구 찾기 위해 한국 찾는 중국 기업들도


한편 블룸버그통신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최근 4개월 동안 중국 회사들은 한국 파트너사들과 손잡고 한국의 신규 배터리 공장 다섯 곳에 총 5조1,000억 원을 투자하기로 발표했다"며 "이는 전기차 공급망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을 차단하려는 조 바이든 행정부의 노력을 훼손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기업들이 미국 시장의 관문으로 삼기 위해 한국 내 배터리 산업에 연이어 투자한다는 분석이다. 국내에서 만든 제품이 IRA의 핵심 광물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미국과 유럽 수출 시 혜택을 누릴 수 있어서다.

①중국 최대 전구체 업체 거린메이(GEM)는 SK온, 에코프로와 합작회사를 만들고 전북 새만금에 1조2,100억 원을 들여 전구체 제조 공장을 짓기로 했다. ②절강화유코발트LG화학과 함께 새만금에 1조2,000억 원을 투자해 연산 5만 t 규모의 전구체 공장을 건설한다. 이 회사는 또 포스코퓨처엠과 포항 블루밸리 산단에 1조2,000억 원을 투자해 전구체와 고순도 니켈 원료를 생산할 계획이며, 포스코, 포스코퓨처엠과 양극재 생산을 위한 합작사 절강포화와 전구체 생산을 위한 합작사 절강화포도 세웠다.

이차전지 업계 관계자들은 이런 중국 측 움직임을 두고 "당장은 (우리 업계에) 나쁘지 않은 제안이지만 장기적으로는 한국에 이익이 될지 미지수"라고 입을 모은다. 한 업계 관계자는 "핵심 광물에 높은 점유율을 가진 중국과 손을 잡는 것이 손해가 될 건 없다"면서도 "미국이 합작 투자를 대상으로 IRA 보조금 혜택을 축소하거나 중국이 해외 우려 집단으로 선정되면 중국업체가 국내에서 생산하는 광물이 인정받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공장 증설 규모가 크지 않은 점도 한계다. 다른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중국 기업이 한국에 적극 진출 중이지만 중국이 한국에 진출해 짓는 공장의 증설 규모가 작은 반면 높은 투자 비용을 감당해야 된다는 점에서 부정적"이라며 "광산 개발과 제련 시설까지 대규모 자본을 투입할 수 있는 중국 기업은 많지 않고 환경 문제도 있어 양국 기업 모두 이익 내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지연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