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설 논란의 허실

입력
2023.07.25 17:00
26면

편집자주

<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풍수지리설은 전통사회에서 도성과 사찰, 집과 산소 등을 건설하는 데 있어서 화를 물리치고 복을 가져오는 입지를 판단하고자 체계화된 이론이다. 땅의 기운 등이 인간의 길흉화복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원초적 믿음에, 음양오행설이나 도참설 등이 융합된 것으로 여겨진다. 중국 전국시대 말기에 형성돼 우리나라엔 삼국시대 때 유입된 것으로 파악된다. 도성과 집 등의 입지를 정하는 걸 양택풍수라 하고, 산소 자리를 정하는 걸 음택풍수라고 한다.

▦ 풍수지리는 조선왕조 때까지만 해도 나랏일의 결정에도 큰 영향을 줬다. 조선왕조가 한양에 도읍을 정하고 무악산 아래 경복궁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당대의 권신 정도전과 고승 무학대사가 입지 풍수론을 두고 대립했다는 사료가 전한다. 역대 조선왕릉들도 정밀한 풍수설에 따라 조성됐다. 하지만 풍수설에 따른 명당이 이론과 믿음만큼 발복을 이뤘다는 정황은 희미하다.

▦ 조선왕릉만 따져도 태조의 건원릉이 명당으로 꼽히지만, 거기서 발복이 이루어졌다면 가깝게는 단종의 비극이나, 나중에 선조 같은 ‘찌질이’ 왕이 나와 이 땅의 백성들이 그토록 혹독한 전란을 겪지 않았어야 할 것 아닌가. 정조가 천장까지 하며 그토록 성심으로 모신 아버지 사도세자의 융릉도 마찬가지다. 그게 세평처럼 천하의 명당이라면, 정조 이후 변변한 후손이 없어 왕위 계승조차 어지러워진 구한말 상황은 또 어떻게 설명할 건가.

▦ 인간의 길흉화복에 실제로 영향을 주는지 여부와는 별개로, 풍수지리설은 지금도 무시 못 할 생활문화로 굳건히 살아 있다. 과거 모모한 대선 출마자치고 조상묘 손보지 않은 사람이 없는 것만 봐도 그렇다. 지난해 윤석열 대통령 관저 선정 과정에 한 풍수지리가가 후보지 풍수를 비공식 자문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최근 여야 간 풍수를 본 게 ‘용납될 만한 문화’인지, ‘국정에 미신을 끌어들인 건지’를 두고 논란이다. 대학에도 풍수지리학과가 있는 현실이다. 풍수지리가를 무슨 국토부 장관에 임명한 것도 아닌데, 그걸 두고 정치가 이렇게 들떠 돌아갈 일인지 그저 헛웃음만 나올 뿐이다.

장인철 수석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