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부진 속 한국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한 민간 소비가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 쌓여 온 고금리·고물가 부담이 가계소비를 짓누르는 데다 폭우 피해가 밥상 물가 불안으로 번지는 양상이다.
방역조치 완화 여파로 1분기 '깜짝' 반등한 민간 소비 관련 경제지표는 최근 들어 다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2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내수 경기의 선행지표로 볼 수 있는 백화점 매출액은 지난달 0.2% 감소(전년 동월 대비)했다. 2월(5.2%)과 3월(7.2%) 큰 폭으로 뛴 다음 3개월 연속 뒷걸음질 쳤다.
소비경기 파악에 중요 지표로 쓰이는 카드승인액도 같은 상황이다. 1~3월 카드승인액 증가율은 8~9%대를 기록했으나, 4월 5.6%로 떨어진 뒤 5월(3.3%)엔 더 낮아졌다. 특히 법인카드 승인액 증가율은 4월부터 두 달 연속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여신금융연구소 관계자는 “경기 부진으로 기업이 긴축에 나선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민간 소비는 1분기까지만 해도 한국 경제를 끌어올린 주인공이었다. 1분기 성장률(0.3%) 중 민간 소비를 포함한 내수의 성장기여도는 0.3%포인트에 달했다. 민간 소비 뒷받침이 없었다면 지난해 4분기(-0.4%)에 이어 역성장 흐름이 계속될 수 있었다는 뜻이다.
민간 소비가 고꾸라진 건 실질소득이 계속 쪼그라들고 있기 때문이다. 명목소득에서 물가 변동분을 제외한 실질소득은 고물가가 심화한 지난해 3분기(-2.8%)와 4분기(-1.1%)에 감소했다. 물가 오름세가 완화한 올해 1분기 들어선 전체 증가율이 제자리(0%)에 머물렀으나, 소득 하위층인 1~3분위 가구에선 오히려 줄었다.
고금리에 따른 이자 부담 증가도 소비 위축의 원인이다. 10가구 중 7가구는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은 만큼 급격한 금리인상은 가계 소비에 직격탄이다. 2021년 8월 0.75%였던 국내 기준금리는 현재 3.50%까지 올랐는데,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연내 두 번의 금리 인상을 예고한 만큼 기준금리가 추가로 오를 가능성도 있다.
폭우 피해로 급등한 신선식품 가격도 소비 확대를 가로막고 있다. 실제 적상추 100g 소매가격(2,113원·20일 기준)은 평년보다 76.5% 뛰었다. 시금치(92.3%), 양배추(19.9%) 등 다른 작물도 마찬가지다. 폭염·태풍 등 기상 악재도 예고돼 있어 밥상 물가 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신지영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민간 소비가 계속 확대될지 불투명한 상황”이라며 “소비가 부진한 부분에 대한 지원금 지급, 소득공제 대상 확대 등 소비 진작책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