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를 만들고 있는 한국은행이 삼성전자와 손을 잡고 상용화를 염두에 둔 연구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개발이 마무리되면 돈을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모바일 기기가 모두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아도 현금의 송금과 결제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한국은행과 삼성전자는 15일 수원 삼성전자 디지털시티에서 오프라인 CBDC 기술 연구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CBDC란 비트코인처럼 암호화폐의 '탈중앙화' 기술을 활용하지만 중앙은행이 발행해 현실의 명목화폐처럼 가치가 안정된 디지털화폐를 말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한은이 진행한 'CBDC 모의실험 연구' 2단계 사업에 참여해 근거리무선통신(NFC)을 통해 기기 간 송금과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만들었다. 이 기술을 통해 거래하는 이용자 양측이 인터넷망을 통해 거래 중개기관과 연결하지 않아도 상호 거래가 가능하다. 재난 상황 등으로 인터넷 연결이 안 돼 있어도 단말기 간의 NFC 기술을 통한 터치 결제가 가능해진다는 얘기다.
보안과 변조에 대한 걱정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삼성전자 모바일 기기에 담긴 보안 칩셋 내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불법 복제나 이중거래 등의 오류를 예방할 수 있도록 보안성도 확보한다는 게 삼성전자 설명이다.
한은이 CBDC 개발을 위해 삼성전자와 손을 잡게 된 것은 개인 간 거래에서 CBDC를 실험하거나 상용화하게 될 경우 한국 상황에서는 삼성전자 휴대폰을 통하는 방식이 안성맞춤이기 때문이다. 실제 CBDC가 개인 간 거래에서 쓰이면 삼성전자 스마트폰 등 휴대 단말기에 한은의 CBDC 애플리케이션(앱)을 설치해 사용할 가능성이 크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전자는 국내 유일한 단말기 제조사로서 한국은행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은뿐 아니라 각국 중앙은행은 CBDC 연구와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 세계 중앙은행의 90%가 CBDC를 연구·개발 중이다. 대표적으로 중국 인민은행은 2020년부터 여러 차례 '디지털 위안' 실험을 진행했고, 미국과 유럽중앙은행 등도 열심이다. 업계 관계자는 "CBDC는 아직 개발 초기 단계"라면서 "실제 소비자가 활용할 수 있는 수준까지 CBDC 활용 범위를 넓힐 수 있을지는 지켜볼 일"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