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전문가가 뽑은 파급력 큰 리스크는? "부동산 침체"

입력
2023.05.03 14:36
한은, 전문가 76명 대상 설문
'경상수지 적자 지속' 언급↑

'부동산 침체'가 우리나라 경제 위험 요소 중 상대적으로 발생 가능성이 높고,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도 크다는 평가가 나왔다.

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에 따르면, 국내외 금융·경제 전문가들은 '가계의 높은 부채 및 상환 부담 증가'(응답빈도 53.9%), '부동산시장 침체'(48.7%), '금융기관 대출 부실화 및 우발채무 현실화, 대규모 자금 인출 가능성'(43.4%) 등을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지목했다.

특히 부동산시장 침체는 응답빈도가 직전 조사(지난해 11월) 대비 12.6%포인트 증가했다. 그만큼 체감 위험이 높아졌다는 뜻이다. "상대적으로 발생할 확률이 높고, 파급력도 클 것"이란 평가와 함께, 가장 많은 전문가(응답자의 18.4%)들이 '1순위 위기 요인'으로 꼽았다. 구체적으로 "저축은행, 상호금융, 중·소형 금융사, 캐피털사 등 비은행업권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취약 요인이 될 것"으로 우려했다.

최근 원화 약세 요인으로 언급되고 있는 '경상수지 적자 지속'은 이번 조사에서 응답률 31.6%를 얻으며 새로운 위험 요인으로 부상했다. 경상수지 적자 지속은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지만, 발생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높다"는 평가다. 은행 위기가 우리나라에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고 봤지만, 한 번 발생하면 파급력은 가장 클 것으로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경제 위험 요인들이 1년 내 발생할 가능성은 크게 줄어들었다(58.3%→36.8%)고 판단했다. "1~3년 사이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답변도 직전 조사에 비해 소폭 하락(40.3%→34.2%)했다. 반대로 향후 3년간 우리나라 금융 신뢰도(42%)는 직전 조사(36.1%)에 비해 다소 상승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5~17일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 및 주요 경제전문가 76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윤주영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