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리우드와 AI

입력
2023.03.28 18:00
26면

편집자주

<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고전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1968)에는 인공지능(AI)이 등장한다. ‘할(HAL)9000’으로 영화 속에서 목성 탐사 우주선의 기능을 유지하고 관리하는 AI로 묘사된다. 할9000은 기능 장애를 일으키고, 작동 중단 위기에 처한다. 할9000은 살아남기 위해 승무원들을 죽이려 한다. 컴퓨터라는 용어조차 생소했던 시절, 미래사회 AI의 반란이라는 충격적인 내용은 당대에 서늘한 메시지를 던졌다.

□ 할리우드는 AI를 종종 다뤄왔다. ‘에이아이’(2001)처럼 사람에게 철저히 이용만 되는 AI의 처지를 동정적으로 본 영화가 있기도 하나 대체로 AI가 만들어낼 암울한 미래를 표현했다. ‘아이, 로봇’(2004)이나 ‘엑스 마키나’(2014)처럼 AI를 통해 기계문명의 디스토피아를 묘사하는 식이다. 영화 ‘터미네이터’ 시리즈는 AI 슈퍼컴퓨터 ‘스카이넷’이 핵전쟁을 의도적으로 일으켜 인류를 절멸 위기로 몬다고 설정한다. AI를 명백하게 악으로 규정한 것이다. AI를 악당으로 설정해야 관객 흥미를 끌 수 있기에 부정적 측면이 강조됐을 만하다.

□ AI를 오래전부터 소재로 활용했던 할리우드가 최근 생성형 AI 챗GPT의 등장으로 변혁을 맞게 됐다. 가장 먼저 영향을 받을 이들은 시나리오작가들이다. 챗GPT로 시나리오 얼개를 만드는 것은 물론 완성까지 이론적으로 가능해서다. 지난 21일 미국 연예매체 버라이어티 보도에 따르면 할리우드 미국작가조합(WGA)은 작가들이 생계 위협을 느낄 만한 상황에 대해 최근 대책 안을 마련했다.

□ WGA의 안은 AI 도움으로 시나리오가 쓰였어도 작성과 수정에 참여한 작가의 성취만 인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AI가 엔딩 크레딧에 오르거나 수익을 배분받는 상황을 막겠다는 것이다. AI의 창작성을 인정하지 않아 밥그릇 싸움 자체를 원천봉쇄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 하지만 이 안을 할리우드 스튜디오가 온전히 받아들일지 의문이다. AI 도입이 시나리오 개발비를 낮출 게 분명하기 때문이다. 생성형 AI가 더욱 진화하면 인간보다 더 완벽하게 시나리오를 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도 하다. AI의 할리우드 점령은 시간문제일지 모른다.

라제기 영화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