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대학이 적임" 충청권역 반도체공동연구소 유치 '각축전'

입력
2023.03.27 18:30
전문인력 양성...인재채용 선순환 기대
27일 마감...충남대·한밭대·충북대 3파전
교내 부지 마련, 저마다 강점 걸고 어필
대전·충북 매칭투자 내걸고 총력 지원

충청권 국립대들이 정부의 반도체 인재양성 프로젝트인 권역별 반도체공동연구소 유치전에 본격 뛰어들었다. 각 대학이 사활을 걸고 도전장을 내민 가운데 지자체들도 '사업비 일부 부담'까지 내걸고 지원 사격에 나서면서 치열한 경쟁이 펼쳐질 전망이다.

27일 교육부에 따르면 비수도권 국립대를 대상으로 한 4개 권역별 반도체공동연구소 공모 접수를 마감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각 국립대가 제출한 사업계획서를 바탕으로 이달 말 1차 서면평가, 4월 현장 평가를 거쳐 5월 중 최종 대상을 선정할 계획"이라며 "올해 설계에 착수해 2025년까지 공사를 완료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권역별 반도체공동연구소는 1권역 전남·전북·광주, 2권역 경남·제주·부산·울산, 3권역 경북·강원·대구, 4권역 충남·충북·대전 등에서 각각 1곳씩 지정·운영된다. 지정된 국립대학에는 3,800㎡ 규모의 연구소 시설 확충 등을 위한 사업비 164억원이 지원된다. 지역 및 산·학 공동 활용 등을 전제로 필수 장비도 지원받을 수 있다.

권역별 반도체공동연구소로 지정된 국립대는 반도체 직접 제작을 위한 실습 중심의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을 제공하고, 반도체 인재양성을 이끌 질 높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게 된다. 반도체 특성화 분야 교육 및 실습환경 구축을 통해 지역 내 교육 자원을 공유하는 체계도 마련할 것으로 전망된다.

1988년부터 운영된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는 그동안의 운영 비결을 바탕으로, 권역별 반도체공동연구소가 사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장비 선정과 설치, 운영 비결, 인력 훈련, 실습 기회 등 연구소 운영·관리 방법을 공유한다.

충청권 국립대 중에선 교육대를 제외한 5곳 가운데 충남대와 충북대, 한밭대가 계획서를 제출했다. 공주대는 부지 확보 등 복합적인 이유로, 한국교통대는 반도체 인력양성 사업 등에 집중하겠다는 이유로 신청하지 않았다.

충남대와 한밭대는 교내에 연구소 부지를 조성하는 내용의 계획서를 교육부에 제출하고, 대전시의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후보지(유성구 교촌동 일원) 선정 등을 강점으로 내걸었다.

박연상 충남대 반도체인력양성TF 단장(물리학과 교수)은"기계공학과와 전자공학과 등 5개 학과가 참여한 TF팀을 구성해 이번 공모를 준비했다"며 "우수하고 풍부한 인적 자원 등을 바탕으로 향후 조성될 국가산단과의 연계 필요성과 강점을 적극 어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전에 국가산단이 조성되면 많은 반도체 전문인력 수요가 생겨 충청권에서 교육받은 인재들이 자연스럽게 산단 입주기업으로 채용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밭대도 복용동에 권역별 반도체공동연구소 예정 부지를 일찌감치 확보해 둔 상태다. 오민욱 한밭대 대학혁신본부장(신소재공학과 교수)은 "우리 대학은 대학 내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학과만 6~8개에 달하는 이공계 중심인 만큼 교육 수요가 많고, 가족회사가 2,000개 이상 돼 기업이 원하는 맞춤형 교육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대학은 국가산단으로 지정된 교촌지구와 직선거리로 3.7㎞로 상당히 가깝다는 지리점 장점도 있다"고 덧붙였다.

충북대는 제2학생회관 옆에 반도체공동연구소 부지를 확보하고, 전자공학부 교수 10여명으로 꾸린 TF팀을 가동하고 있다. TF를 이끌고 있는 강문희 충북대 전자공학부 교수는 "충북에는 SK하이닉스가 둥지를 틀고, 반도체 관련 중소기업이 청주에만 200여개나 되는 등 풍부한 산업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며 "앞으로 심사 과정에서 충남과 충북의 정중앙에 위취한 점 등도 적극 어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충청권 반도체공동연구소 유치전에 대전시와 충북도까지 뛰어들어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사업이 전액 국비로 추진되는데, 교육부 사업심사위원회가 평가 과정에서 '대학과 지자체의 적극성'에도 적지 않은 비중을 둔 것으로 알려지자 대전시와 충북도가 '사업비 일부를 지방비로 부담하겠다'며 지역 내 대학 유치를 지원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권역별 반도체공동연구소를 통해 지역의 반도체 교육·연구 수요가 충족돼 반도체 전공 학생의 수도권 집중과 중소기업의 반도체 인력 부족 현상이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최두선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