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식품가격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주요 5개국(G5)보다 큰 폭으로 상승해 저소득층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이 16일 공개한 '엥겔지수 국제비교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소비 지출에서 식료품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하는 엥겔지수가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11.4%에서 2021년 12.8%로 1.4%포인트 올랐다. 같은 기간 미국, 독일, 일본, 영국, 프랑스 등 G5 평균(0.9%포인트)보다 가파른 상승세다. 2021년 기준 일본(16.3%)과 프랑스(13.9%) 지수가 한국보다 더 높지만, 두 나라의 2년 새 상승폭은 G5 평균을 밑돈다.
엥겔지수 상승은 결국 식품 물가가 높아졌다는 의미다. 한국의 식품 소비자물가상승률(2020, 2021년)은 평균 5.2%로, G5 평균 상승률(1.7%)보다 세 배 이상 높았다. G5 중 식품 소비자 물가가 가장 많이 오른 미국(3.5%)보다도 더 높은 상승률이다.
한경연은 주요 농산물을 해외 수입에 의존하다 보니 코로나19 등의 공급망 불안 요인 발생 시 식품 물가가 불안정해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한국의 곡물 자급률은 19.4%로 G5 중 가장 낮았다.
식품 가격 급등은 저소득층의 식료품 지출 부담 증가로 이어져 결국 생계를 위협하는 요인이 된다는 분석이다. 실제 코로나19 이후 식료품비 증가에 따른 가용자금 감소율은 저소득층(5.7%)이 고소득층(1.2%)보다 다섯 배 가까이 높았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생계유지와 직접 연관된 식품 가격이 상승하면 저소득층 피해가 커진다"며 "농산물 자급능력 확충, 유통구조 개선 등을 통해 식품물가 상승폭을 최소화해 취약계층 생활비 부담을 줄여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