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많던 가창오리는 다 어디 갔을까

입력
2023.02.16 13:00
매년 겨울 금강하구에만 40여만 마리 월동
올겨울엔 개체 수 줄고 무리 규모도 작아져
주변 환경 변화로 황홀한 군무 보기 어려워





수평선 위 붉은 석양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가창오리의 화려한 군무를 올겨울엔 좀처럼 보기 어렵다.

국내 최대 철새도래지 중 하나로 충남 서천과 전북 군산에 걸쳐 있는 금강하구에는 매년 겨울 가창오리 40여만 마리가 날아와 머문다. 수만 마리의 새 떼가 동시에 하늘을 나는 '장관'을 보기 위해 전국에서 탐조객과 사진작가들이 몰려드는 것도 이 시기다.

그런데, 올겨울은 가창오리 개체 수가 크게 줄고 무리의 규모도 작아진 데다, 바로 어제 눈앞에서 헤엄치던 무리가 오늘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대자연의 황홀경을 기대하고 찾아온 탐조객이나 사진작가들이 허탈하게 발길을 돌리는 일이 잦은 이유다. 그 많던 가창오리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금강하구를 찾은 탐조객과 주민들로부터 얻은 정보를 종합하면, 가창오리들은 여전히 금강하구 인근에서 머물고 있고, 소규모 무리로 여러 군데 분산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충남 서천의 봉선저수지나 부여의 왕진교 부근, 예산 예당저수지 등에서 최근 목격됐는데 자주 옮겨다니다 보니 눈에 잘 띄지 않는다는 것이다.

지난 14일 전북 군산시 나포십자뜰 철새관찰소를 찾았다. 사흘 전인 11일 같은 장소에서 가창오리 떼의 비행을 목격한 터라 이날은 더 웅장한 장면을 찍고 싶었다. 하지만 사흘 전과 달리 이날은 가창오리 떼를 볼 수 없었다. 해 질 무렵까지 기다려 봤지만 끝내 단 한 마리도 나타나지 않았다.

허탈한 마음으로 돌아서는데 며칠 전 이곳에서 만난 사진작가의 이야기가 떠올랐다. 그는 "가창오리 군무 사진을 찍으러 매년 오는데, 올해처럼 보기 힘든 경우는 처음”이라며 "이상하게 나타났다 사라졌다 해서 결국 한 장도 못 건지고 빈손으로 돌아간 적도 있다”고 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가창오리는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자료목록에서도 멸종위기 취약종으로 지정돼 있다. 낮에는 천적을 피해 물 위에서 쉬다가 저녁이 되면 인근 농경지로 이동해 먹이활동을 하는 특성이 있다. 해 질 무렵 펼쳐지는 군무는 가창오리 떼가 먹이활동을 하기 위해 일제히 물을 박차고 날아 농경지로 이동하는 본능적인 행동이다.

지역 생태 전문가들은 가창오리 실종 사태의 원인으로 금강하구 주변 환경 변화를 꼽고 있다. 대규모의 가창오리 떼가 공유할 공간과 먹이가 예전만큼 넉넉하지 않아 여러 무리로 흩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최근 들어 금강하구 인근 논바닥에 버려진 벼 이삭이 크게 줄었다. 1년 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곡물 가격이 상승하면서 가축 사룟값도 폭등할 기미가 보이자 농가마다 수확 후 남겨진 볏짚을 긁어모아 '곤포 사일리지(silage)'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곤포 사일리지는 가창오리의 먹이를 빼앗을 뿐 아니라 태양광 패널과 함께 가창오리 떼의 이착륙을 방해한다. 원래 개당 4만~5만 원 정도이던 사일리지는 지난해 말 10만 원까지 올랐다가, 최근 다시 가격이 폭락하면서 애물단지로 논바닥에 방치되기까지 한다.

또 다른 원인은 농경지에 무분별하게 들어선 태양광 시설이다. 농지를 잠식하며 들어선 태양광 패널은 이착륙을 방해하는 것은 물론 햇빛을 반사해 새들의 비행 자체를 어렵게 한다. 사일리지든 태양광 패널이든 농경지를 차지하고 있다 보니, 그만큼 먹이활동 공간이 협소해지고, 가창오리 떼는 예전처럼 대규모로 무리지어 다니기가 어려워진다는 설명이다.


가창오리를 전문적으로 연구해 온 서천군 조류생태전시관 정홍태 주무관은 “철새들이 생존하는 데 필요한 환경이 지금처럼 악화된다면 머지않아 가창오리 월동지는 사라지고 말 것”이라며 “조류인플루엔자(AI) 방역을 이유로 지자체에서 중단한 먹이주기 활동을 재개하고, 정부 예산을 확충해 철새도래지 주변 농가에 대한 지원을 현실화해야 가창오리가 다시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왕태석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