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료기관이 맡는 지역 범위를 줄여 뇌출혈, 심근경색 등 중증응급질환자가 전국 어디서든 1시간 안에 치료 받도록 응급의료체계를 개편한다.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재난응급의료 대응·소통 체계도 개선한다.
정부는 8일 이런 내용을 담은 '제4차 응급의료 기본계획안(2023~2027)'을 공개하고 공청회를 열었다. 지난달 발표한 필수의료 지원 대책과 연계해 어느 지역에서든 최종 치료까지 받을 수 있도록 한 게 핵심이다.
적기에 신속히 중증응급환자 치료가 이뤄지도록 현재 권역응급의료센터-지역응급의료센터-지역응급의료기관의 체계를 환자 중증도에 따라 '중증응급의료센터-응급의료센터-24시간진료센터'로 바꾸고 각 기관의 역할 분담도 명확히 한다.
중증응급의료센터로 개편하며 권역응급의료센터 운영 시 모호했던 중증응급환자에 대한 규정도 구체화한다. 권역응급센터 역할은 '중증응급환자 중심 진료'로 정했지만, 중증환자의 기준이 없다 보니 그동안 센터에서 이뤄지는 수술·시술에 대한 규정도 없었다.
중증응급의료센터 기능은 '뇌출혈, 중증외상, 심근경색 등 사망 위험에 밀접한 영향을 주는 질환군'으로 정했다. 치료가 매우 시급한 응급환자에게 더 집중할 수 있게 역할을 정의한 것이다.
전국에 40곳인 권역응급의료센터는 50~60개의 중증응급의료센터로 확충한다. 센터가 맡는 지역 범위를 좁혀 전국 어디서나 1시간 안에 치료를 받도록 하는 게 목표다. 의료기관에서 진단한 뒤 중증응급의료센터로 신속히 이송하도록 취약지역 응급의료센터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권역센터에도 몰렸던 중증응급의심환자는 응급의료센터에 맡겨 제때 치료 받게 조치한다. 지역 응급실인 24시간진료센터는 경증응급환자와 1차 응급 의료를 전담한다. 다만 중증응급의심환자, 경증응급환자 질환군 및 진료 기능에 대한 세부 정의는 올해 연구를 통해 마련할 예정이다.
응급환자 이송 과정을 개선하고 이송 시 적절한 처치가 이뤄지도록 응급구조사의 처치 범위도 확대한다. 병원에서 응급이송 중인 환자를 거부해 골든타임을 놓치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정부가 사전에 관리·지도할 계획이다.
지난해 10월 발생한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국민의 응급처치 역량을 강화하고, 재난응급의료체계도 개선한다.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현장에 있는 국민이 즉시 조치를 할 수 있게 심폐소생술 교육과 자동심장충격기 정보 제공을 확대한다.
재난의료지원팀(DMAT)과 소방서·보건소 간 긴밀한 소통이 이뤄지도록 합동훈련을 내실화하고, 대형 사고 발생 시 관계기관 간 의사소통이 원활하도록 지역별 재난의료협의체도 구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