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 요금 인상을 추진 중인 오세훈 서울시장이 "정부가 지하철 무임수송 손실 비용을 지원해 주면 요금 인상 폭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대중교통 요금 인상에 대한 부담을 중앙정부와 분산시키고자 한 의도로 풀이된다.
오 시장은 30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지난해 말 여야가 합의해 공익서비스에 따른 손실보전 지원(PSO) 예산 확보를 위해 노력했으나 기획재정부가 끝까지 반대했다"며 "기재부가 생각을 바꿔 올해 중이라도 지원해 준다면 인상 폭을 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올해 4월 지하철과 버스요금을 300~400원씩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서울 대중교통 기본요금은 2015년 이후 8년째 동결됐다. 여기에 지난해 국회 예산 심사 과정에서 대중교통 지자체 손실 보전분 3,500억여 원이 삭감돼 최소 300원 이상의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게 시의 입장이다. 300원을 인상해도 ‘요금 현실화율’은 70~75% 수준이다. 승객 1명 수송에 원가를 100원으로 가정하면 요금이 70~75원으로, 승객이 탈 때마다 적자라는 얘기다. 오 시장은 "300~400원 요금을 올려도 운송 원가에 턱없이 못 미쳐 어쩔 수 없는 고육지책"이라며 "요금 인상 폭을 정말 낮추고 싶지만 정부 지원 전제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1984년 정부 방침에 따라 도시철도 교통약자 무임수송 제도가 도입된 이후 고령화 영향 등으로 적자 폭이 커지자, 서울시 등 지자체들은 이에 따른 손실 비용을 정부가 보전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경우 무임수송 손실 비용의 60%를 국비로 지원받는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는 지난해 말 올해 예산에 지자체의 도시철도 손실 보전분까지 반영해 총 7,564억 원을 의결했지만, 본회의에서 지자체 손실 보전분(3,585억 원)을 제외한 코레일 손실 보전분(3,979억 원)만 통과됐다.
오 시장은 "코레일과 형평에 맞지 않다"며 "정부가 먼저 무임수송 정책을 제안해 도입한 만큼 정부가 이로 인한 손실보전을 일정 부분이라도 해주는 게 논리적으로 맞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