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수 피해 드물던 마을, 해수면 높아지자 가슴까지 물이 덮쳤다

입력
2023.01.27 04:30
5면

지난 10일 방문한 전북 부안군 위도. 부안 격포항에서 배를 타고 서쪽으로 1시간가량 들어가면 닿는 섬이다. 한때 조기가 많이 잡혀 국내 3대 파시(波市·해안 어시장)로 번성했던 곳이지만, 이제는 낚시 여행객들만 들르는 외딴섬이 됐다. 남획과 기후위기로 인한 수온 변화로 조기 어장이 바뀌면서다. 어업을 생계로 삼는 주민도 거의 없다고 한다.

이미 한번 기후 변화의 피해를 본 섬 주민들은 최근 또다시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수십 년간 물에 잠긴 게 손에 꼽을 정도였던 마을이 최근 5년 새 침수 피해가 급격히 늘었기 때문이다.

최근 5년간 몸통까지 물이 찬 게 3차례이고, 발목까지 자박자박 잠긴 건 헤아릴 수 없다고 한다. 지대가 낮아 가장 피해가 큰 파장금 마을 주민들은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과 집중 호우를 원인으로 꼽았다.

한국일보는 국내 섬·연안 지역의 기후변화 피해 상황을 추적했다. 기후재난을 겪고 있는 남태평양 섬나라들에 비하면 '아직 한국은 괜찮지 않을까' 낙관했으나, 국내 곳곳에서 위도처럼 기후위기로 인한 피해 신호를 감지할 수 있었다.

하루에 220㎜ 폭우가 쏟아졌다

파장금 마을 주민 이송죽(68)씨는 2020년 여름을 잊지 못했다. 그해 여름 장마 때 220㎜의 비가 하루 동안 쏟아졌다. 급격히 물이 불어나 마을 전체가 가슴팍까지 잠겼고, 주민들은 지대가 높은 곳으로 전부 대피했다. 70년 가까이 이곳에서 나고 자란 이씨도 "그런 비는 살다 살다 처음 봤다"고 했다.

피해를 더 키운 건 언젠가부터 스멀스멀 올라온 바닷물이다. 빗물이 빠져나가도록 만든 방파제의 우수관은 해수면보다 훨씬 높은 곳에 설치했는데, 최근엔 바닷물이 빗물 배출구까지 종종 차오른다. 만조 땐 아예 우수관이 물에 잠기고, 파도가 땅 위로 올라온다. 지난 장마 때도 빗물이 빠져나가지 못해 침수 피해를 키웠다.

파장금 마을 이장 강대영(61)씨는 "2020년 장마와 태풍 '하이선' 피해를 입은 후 부안군에서 방파제 높이를 20㎝ 높이는 공사를 했다"며 "그런데도 날이 궂으면 여전히 파도가 넘어온다"고 했다.

파장금 마을에는 물이 들어찼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 집집마다 외벽 페인트가 바닥에서 50㎝ 높이까지는 벗겨져 있고, 건물 벽에 주민들이 침수 수면에 맞춰 표시해둔 선이 하얗게 남아 있었다. 이씨는 "요즘은 비가 좀 많이 온다 싶으면 일단 대피부터 한다"며 "아이들 사진이 몽땅 젖었고, 귀중품은 애초에 높은 곳에 보관한다"고 했다.

반복되는 피해에 이씨는 고향을 떠날 생각까지 하게 됐다. 원래는 아버지가 물려준 집을 고쳐 짓고 아내와 여생을 보낼 생각이었다. 3대째 이곳 땅과 바다에서 자란 것들로 생을 이었고, 배추·파를 알뜰살뜰 키워 팔아 자식 2명을 서울로 보낸 그였다. 그러나 이씨는 "물이 수시로 집 안에 들어차고, 그럴 때마다 비교적 지대가 높은 노인정으로 피난 가야 하는 상황이 매우 고통스럽다"고 했다.


유인도서 4곳 “해수면 상승 이유로 방파제 공사”

주민들이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피해를 호소하는 건 위도만의 상황이 아니다. 한국일보가 유인도서가 있는 기초지방자치단체 41곳에 정보 공개를 청구한 결과, 위도를 포함한 4곳이 최근 5년 사이 해수면 상승을 이유로 방파제 공사를 했다고 밝혔다. 인천 옹진군과 전남 목포시, 제주 서귀포시다.

인천 옹진군은 2021년 11월 장봉도 야달항 방파제를 40~100㎝ 높이는 공사를 했다. 파도를 잘 막아줬던 벽이 최근 들어 무용지물이 됐기 때문이다.

처음 문제를 제기한 정연희 어촌계장은 "바닷물 수위가 가장 높아지는 백중사리 때는 비가 내리지 않아도 바람이 조금만 불면 선착장이 침수됐다"며 "군청에서 민원을 즉각 해결해줘서 사례가 알려졌지만, 다른 지역도 비슷한 고충을 겪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10년 전만 해도 여름철 갯벌에 망둥어를 잡으러 가면 바닷물이 배꼽까지만 찼는데, 최근엔 가슴팍까지 올라온다"고 했다.

전남 목포시는 다음 달 고하도 선착장 방파제를 50㎝ 높일 계획이다. 2021~2022년 이미 30~90㎝가량 높였는데도 역부족이어서다. 시 관계자는 "선착장 환경 정비공사를 추진하던 중 어민들의 요청으로 방파제 숭상 공사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강호성 고하도 어촌계장은 "인근 해역의 대규모 토목공사도 수십 년 전에 끝난 것이어서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외 다른 요인은 생각하기 어렵다"고 했다.

제주 서귀포시 대평항은 지난해까지 해수면이 올라오는 사리 때 동풍이 강하게 불면 항만 위로 물이 차올라 뱃머리가 뭍에 올라올 정도였다. 강태민 전 대평항 어촌계장은 "어릴 적 고무신 신고 뛰어놀던 방파제가 이젠 물이 찰랑거리기 시작했다. 40년 전에 비해 30~40㎝는 물이 올라온 것 같다"고 했다. 시 관계자도 "다른 지역에서도 방파제 높이를 올리는 공사를 했는데, 대평항은 특히 해수면 상승이 직접적인 이유였다"고 설명했다.

이제 평균 9cm 올랐을 뿐, 이번 세기 73cm 오른다

전문가들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피해가 다른 방식으로, 더 심각하게 들이닥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국립해양조사원에 따르면, 지난 30년(1991~2020년)간 우리나라 전 연안의 평균 해수면은 9.1㎝ 높아졌다. 그런데 해수면 상승 속도가 빨라지는 추세여서 2100년엔 최대 73㎝ 높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강현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기후예측센터장은 "지난 30년간 국내 해수면 상승은 지역에 따라 10~20㎝로 추정하지만 바람, 지반 침하, 모래 유실 등 다른 요인과 섞여 실제 체감되는 상승폭은 훨씬 크게 나타날 수 있다"며 "바닷물이 뜨거워지면 태풍도 더 강해지는데, 강한 태풍과 높아진 해수면이 합쳐져 더 큰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고 말했다.

기후위기의 최전선이자 외딴섬에서 바다를 지켜보는 이들도 불안에 떨고 있다. 위도 주민 이송죽씨가 말했다. "기후위기가 심각하다고 말해도 육지 사람들은 몰라요. 말로만 '기후위기, 기후위기' 하지, 가뭄 들고 폭우 오는 거 봐도 느끼는 게 없어요. 이 지역 지대를 높이는 공사도 충분히 될지 의문이에요. 다음 세대가 살게끔 해야 하는데, 외딴섬에 얼마나 관심을 갖겠어요. 그래도 내 고향인 걸, 어떻게 떠나겠어요? 기후위기는 이미 현실입니다."

위도= 김현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