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각이 일상인 시대에서 지울 수 없는 흔적 새겨 넣어"

입력
2022.12.30 04:30
14면
[어린이 청소년 부문 수상작] '무등이왓에 부는 바람' 저자 김영화

시작은 '농사'였다.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 '무등이왓' 마을에서 시작된 조 농사. 무등이왓은 제주도 인구의 10분의 1이 죽임을 당한 '제주 4·3사건'의 학살터 중 한 곳이다. 마을은 주민 156명이 학살당하고 초가집 130여 채가 불타버린 후 기억 속에서 사라졌다. 무등이왓이 잊힌 지 73년이 지난 2021년 6월, 그곳에 그림 그리고 글을 쓰는 사람들이 찾아와 600여 평 밭을 일구고 작고 노란 좁씨를 뿌린다. 이듬해 4월 3일 추념식에서 억울하게 죽어간 영혼들에게 바칠 제삿술을 빚기 위해서였다. 그들 중 한 명이었던 김영화 작가는 그 여정을 펜그림으로 남겼다. 제63회 출판문화상 어린이· 청소년 부문 공동수상작이 된 '무등이왓에 부는 바람'은 그렇게 추모와 정성의 나날을 일궈 모아 만들어진 책이다.

지난 28일 서울 중구 한국일보사에서 만난 김영화 작가는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무등이왓의 잊혀진 이야기가 이제라도 싹을 틔우고 열매를 맺은 것 같아 기쁘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무등이왓에 부는 바람'은 제주 땅을 그리는 김 작가의 '기록자' 정체성이 녹아있다. 제주 토박이로 제주와 관련된 이야기를 짓고 그리는 데 천착해왔던 작가에게 4·3은 언젠가는 풀어내야 할 숙제였다. 그는 "외지인들은 제주의 자연을 아름답게만 보지만 이 땅의 이야기를 알고 겪은 이들은 나무 한 그루, 잡초 한 포기를 볼 때도 응축된 슬픔과 회한을 느낀다"며 "유적지로만 존재할 뿐인 4·3의 기억을 어떻게든 현재와 연결하고 싶었던 생각이 컸다"고 설명했다.

작가는 처음엔 '농사를 짓기 위해' 집에서 버스로 왕복 4시간 거리에 있는 무등이왓을 찾았다. 농사일을 하는 동안은 틈틈이 작은 드로잉북을 펼쳤다. 농사 일지를 쓰는 기분으로 그날의 풍경과 소소한 사건을 펜으로 기록했다. 그렇게 여름이 시작되는 6월에 노란 조 씨앗을 뿌리고, 뙤약볕에서 잡초를 뽑고, 태풍이 불고 추수한 후 고소리 술을 빚는 모든 순간을 담아냈다. 그는 "잡초를 뽑다가 올려다본 풍경, 저녁에 마주한 마을의 흔적, 나무와 풀, 새 그리고 바람을 그리며 잃어버린 것들을 채워 넣었다"며 "망각이 일상이 된 세상에서 나름의 방식으로 지울 수 없는 흔적을 새겨 넣은 것"이라고 했다.

하루하루 충실하게 기록하다 보니 어느새 사라진 마을 하나가 눈에 잡힐 듯 다가왔다. 그는 "출간을 생각하지 않고 즉흥적으로 시작한 작업이었는데 낱장이 쌓이면서 어엿한 책 한 권 분량이 나왔다"며 "끝날 때까지 결말을 알 수 없다는 것은 작가에겐 큰 도전이었지만 그래서 모든 순간을 강렬하고 생생하게 담아낼 수 있었다"고 회상했다.

현장에서 완성된 80페이지 드로잉북은 고스란히 한 권의 그림책으로 탄생했다. "박제된 과거가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 무엇을 해야 할지를 이야기하고 싶었다"는 작가는 그 바람을 담아 마지막 페이지에 작업실에서 그린 그림 하나를 보탰다. 겨울이 지나고 어김없이 찾아온 봄날, 한 아이가 빈 무덤 앞에서 고소리술 한잔을 올리는 장면이다. '기다리던 봄, 그날이 오면 무등이왓 바람을 담아 올릴 정성스런 술 한잔이 되어 주기를.'

손효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