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가 임박했다. 주민들을 결속하고 내년 국정운영 기조를 정하는 자리다. 회의에 앞서 북한은 예년과 달리 연말인데도 탄도미사일 발사를 비롯한 각종 무력시위를 일삼았다. 이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회의에서 강경발언으로 내년 추가 도발을 독려할 것으로 보인다.
25일 통일부에 따르면 북한은 이 회의를 통상 12월 마지막 주에 4, 5일간 열었다. 북한은 앞서 1일 김 위원장 주재 당 제8기 11차 정치국회의에서 ‘이달 하순’으로 시기를 못박으며 △2022년 당 및 국가정책 결산 △2023년 사업계획 △현 시기 당과 혁명발전에서 나서는 일련의 중요 문제 등을 토의·결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관심의 초점은 북한이 국방·군사 문제에 대한 입장을 어떻게 정할지에 쏠려 있다. 북한이 이달에도 여전히 군사행동에 적극적이기 때문이다. 지난달 18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 발사 이후 무력도발을 자제할 것이라는 예상을 뒤엎고 이달 5일 동·서해 해상완충구역으로 방사포 130여 발을 발사했다. 또 13일에는 동창리에서 준중거리탄도미사일 2발, 23일에는 평양 순안에서 동해상으로 단거리탄도미사일 2발을 쏘아 올렸다. 군사력을 과시하며 남한은 물론 일본을 넘어 미국까지도 언제든 공격할 수 있다고 으름장을 놓은 셈이다.
과거 북한은 1월 1일 신년사를 발표했다. 하지만 최근 수년간 김 위원장은 연말 전원회의 발언으로 신년사를 대체해 왔다. 특히 내년은 인민군 창건 75주년(2월 8일), 정권수립 75주년(9월 9일), 전승절(우리의 정전협정체결일) 70주년(7월 27일) 등 정주년(5·10년 단위로 꺾어지는 해)을 맞는 북한의 주요 정치기념일이 산적해 있다. 김 위원장이 위기를 조성하는 ‘보여주기’식 경고로 새해를 맞이할 가능성이 높은 대목이다. 당장 7차 핵실험은 모든 준비를 끝내고 김 위원장 결심만 남은 상태다.
북한은 사상무장을 통한 내부단속에 주력했다. 노동신문은 “자신의 심장에 먼저 돌격구령을 내리고 만짐 위에 또 만짐을 덧놓으며 순간순간을 완강한 의지로 이어왔다”고 김 위원장을 치켜세웠다. 그러면서 “혁명 영도의 하루하루는 국가와 인민을 위한 위대한 사색으로 밝아오고 끊임없는 헌신으로 저물어가는 불철주야의 연속”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올해를 “역경이 겹쌓인 해”라면서도 “조국·인민의 안전과 미래를 굳건히 담보할 수 있는 최강의 국가방위력이 튼튼히 다져지고 경제발전과 인민생활 향상에서 소중한 성과들이 이룩됐다”고 자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