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 1990년대 우리나라 수출 효자 산업은 자동차, 조선, 전자였다. 모두가 알듯 세 분야 성장 뒤에는 정부의 든든한 조력과 지원이 있었다. 정부는 이들 산업을 국가기반·전략직종산업으로 정하고 인력양성 전반을 책임졌다. 일찌감치 인재의 중요성을 절감한 것이다. 결국 대한민국은 6·25 이후 넝마가 된 땅에서 '한강의 기적'을 완성해 중진국으로 올라설 수 있었다.
30여 년이 흘러 시대가 바뀌었다.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 정보통신(ICT) 등 디지털 관련 산업과 반도체, 디스플레이, 바이오헬스 등 신산업이 우리 경제의 주요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는 디지털 산업 발전을 뒷받침하기 위해 2026년까지 연평균 20만 명씩 디지털 인재 100만 명을 양성하기 위한 인력정책을 수립했다. 국내 대표 경제단체 대한상공회의소도 이에 호응해 '디지털 선도기업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 디지털 선도기업 아카데미는 국내외 굴지의 기업들이 디지털 기술 교육 과정을 직접 만들어 진행하고, 대한상의가 행정 및 운영을 지원하며 정부는 훈련비용 등을 지원하는 민간 주도 교육훈련이다. 2023년 14개사에서 총 5,060명의 청년들을 교육할 예정이다.
문제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바이오·헬스 등 신산업 분야 인력난이다. 정부가 이들 분야의 석·박사급 하이엔드 인재양성 정책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인력난은 하이엔드 인력뿐만 아니라 공정 운영 인력, 소·부·장 업체 설계 인력, 생산 인력 등 산업 생태계 전반에서 심화하고 있다.
산업부에 따르면 2029년까지 5대 산업 분야(차세대 반도체, 신금속 소재, 차세대 세라믹 소재, 신 화학 소재, 하이테크 섬유 소재)에서 대졸 이하 인력은 약 13만7,800명이 필요하다. 산업 세분화, 인력수급 미스매치 등 복잡한 문제가 얽힌 소부장 업체들의 인력난 해소에도 더 정책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정부는 신산업 분야 인력난에 대비해 '신산업 하이테크 아카데미'를 구상하는 등 해결책을 모색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 시의적절하고 바람직하나, 문제는 시간이다. 정책을 곧바로 사업화하고 실행에 나서야 한다.
신산업 분야 인력양성은 미룰 수 없는 국가적 과제다. 민관이 머리를 맞대야 한다. SK와 KT 등이 디지털 인재양성에 나섰듯 신산업 분야 주요 대기업도 인력 양성에 적극 나서야 한다. 정부는 더 광범위한 지원으로 육성의 발판을 놔야 한다. 대한상의도 디지털 선도기업 아카데미 운영 노하우를 활용해 도울 것이다. 정부, 기업, 대한상의가 또 한 번 뭉친다면 우리나라가 글로벌 산업 선진국으로 우뚝 서는 초석을 놓을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