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성은 남성보다 31% 덜 받아...임금격차 OECD 1위 불명예 계속

입력
2022.12.05 04:30
10면
OECD 가입 26년간 성별 임금격차 1위
3040 여성 경력단절 큰 요인으로 꼽히나
경력단절 이전부터 임금격차 발생

한국은 지난해에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성별 임금격차가 가장 큰 나라였다. OECD에서 유일한 '30%대' 성별 임금격차에 OECD 가입 후 26년간 1위라는 불명예를 얻었다.

4일 OECD의 2021년 성별 임금격차 자료를 보면, 한국의 성별 임금격차는 31.1%로 39개국 중 가장 컸다. 1996년 OECD 가입 후 부동의 1위다. 이스라엘(24.3%), 일본(22.1%), 라트비아(19.8%), 에스토니아(19.6%)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의 성별 임금격차는 미국(16.9%), 독일(14.2%)의 약 2배이고, OECD 국가 중 격차가 가장 작은 불가리아(2.6%)와 비교하면 약 12배에 달했다. OECD 평균은 12%였다.

무엇이 문제일까. 우선 경력단절 현상이 여전하다. 여성은 출산과 육아로 인한 경력단절을 겪고 이후 다시 취업하더라도 임금이 낮고 고용이 불안한 일자리를 갖게 되는 경우가 많다. 여성가족부의 '2022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에 따르면 지난해 여성 고용률은 51.2%였고, 남성 고용률은 70%였다. 연령대별 여성 고용률의 추이를 보면 25~29세 때 70.9%였다가 30~34세(65.7%), 35~39세(57.8%) 때 하락했다. 비정규직 비율은 남성이 31%였고 여성이 47.4%로 여성이 더 높았다.

취업부터 경력단절 이전까지의 기간에도 임금격차가 발생한다. 2019년 김창환 미국 캔자스대 사회학과 교수가 '경력단절 이전 여성은 차별받지 않는가' 논문에서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대학 졸업 후 2년 이내 초기 노동시장에서 여성의 소득은 남성보다 19.8% 적었다. 출신 대학, 세부전공 등의 변수를 통제해도 격차는 여전해 연구진은 "여성 불이익의 원인은 여성 차별에 근거한 불평등한 노동시장 할당 기제에 있다"고 분석했다.

직장에 남아 승진 경쟁을 하더라도 '유리천장'을 뚫기란 어렵다. 여가부에 따르면 지난해 중앙정부의 고위공무원 중 여성 비율은 10%에 불과하고, 상장법인의 여성임원 비율은 5.2%뿐이었다. 직장 내 성차별 문화는 차치하더라도 가정에서부터 가사·양육 부담이 공평하게 분담되지 않는 영향도 있다. 지난달 배호중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이 '여성관리자패널조사'를 분석한 결과, 100인 이상 기업의 과장급 이상 여성관리자의 하루 평균 자녀돌봄 시간은 3.7시간으로 남성관리자(2.5시간)의 1.5배였다.

홍인택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