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력한 봉쇄를 기반으로 하는 ‘제로 코로나’ 정책에 대한 반대 시위가 중국 전역에 확산하자, 국제사회에서도 중국의 정책 변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방역 자체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지만, 세계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한 우려도 크기 때문이다.
지난 3년간 미국의 코로나19 대응을 이끌어온 ‘방역 사령탑’으로, 내달 퇴임을 앞둔 앤서니 파우치(81)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은 28일(현지시간) 미국 CNBC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이 공중보건 이치에 맞지 않고 실효성도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그는 “예방접종률을 높이기 위해서라면 일시적인 봉쇄가 타당할 수 있지만, 중국에서는 사람들을 집에 끝없이 가두기만 하는 봉쇄를 한 것 같다”며 “이 같은 공중보건 방식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파우치 소장은 중국이 봉쇄만 할 뿐 백신 접종 등 추가적인 방역 조치에는 소홀하다는 점도 지적했다. 코로나19에 취약한 고령층의 접종률이 다른 나라에 비해 낮다는 점을 얘기한 것이다. 지난 8월 기준 중국에서 60세 이상 코로나19 백신 2차 접종 완료율은 86%, ‘부스터샷’(3차 접종)까지 맞은 사람은 68%다. 반면 미국에서는 이 비중이 각각 92%, 70%다. 파우치 소장은 “중국이 자체 개발한 백신도 효과가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세계 경제에 미칠 파장을 고려하는 차원에서 제로 코로나 정책 변화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29일(현지시간) 베를린에서 한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은 사람들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제로 코로나’ 정책을 확진자를 사례별로 격리하는 형태로 재보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의 극단적인 봉쇄는 “국민들에게 너무 가혹한 일”이라며 “중국 경제에도 부정적이고, 세계경제에 파급력도 상당하다"고 지적했다.
제로 코로나 정책 반대 시위로 공급망 위기 불안이 커지면서 중국의 정책 변화를 요구하는 산업계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폴커 트레이어 독일상공회의소(DIHK) 대외무역 대표는 DPA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에 대해 “보호주의적인 경제정책으로 중국 내 독일 기업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며 "여러 독일 기업이 공급망 재정비를 강요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원치 않는데도 중국 시장을 떠나고 있다는 점을 우려한 발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