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 시 앞선 지원자에 대한 평가는 ‘뇌가 합리적으로 인지하는 과정’을 통해 다음 지원자의 당락에도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1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따르면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권오상 교수와 문종민 연구원이 ‘순서대로 제시되는 시각 대상을 평가할 때, 직전 평가가 현재 대상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 현재 평가는 바로 전 평가와 ‘비슷한 방향’, ‘멀어지는 방향’이 동시에 작용했다.
연구진은 이런 인지편향은 뇌의 인지 처리가 대상의 상태를 ‘표상’하고, 이 표상을 ‘해석’하는 두 과정으로 나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표상은 대상의 정보를 뇌로 입력하는(encoding) 과정이고, 해석은 입력된 정보를 풀어내는(decoding) 과정이다. 인지 과정에서 표상과 해석은 분리돼 있으며, 각각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상반된 인지편향이 동시에 나타난다는 것이다.
상반된 인지편향을 만들어내는 계산과정을 수학적 모델로 설명하면, 뇌가 대상의 상태를 표상할 때는 직전 상태에서 변화를 잘 감지할 수 있도록 제한된 정보처리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한다. 다음으로 표상을 해석할 때에는, 바로 전 대상을 통해 얻은 현재 상태의 예상치를 방금 얻은 표상과 통합해 수학적으로 최적화된 추론을 내린다.
가령, 오늘 폭염주의보가 있었다면 아무도 내일 갑자기 폭설이 올 것이라고 예상치 않는다. 반면 어제 날씨가 찌는 듯이 더웠다면 오늘 온도가 높더라도 상대적으로 어제보다는 선선한 편이라고 느낀다. 이번 연구는 이런 두 가지 상반된 편향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실험적으로 밝혀냈다.
권오상 교수는 “바로 전 대상에 따라 현재 대상에 대한 평가가 달라지는 것이 일견 비합리적인 행동으로 보일 수 있으나, 사실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수학적으로 최적화된 의사결정을 내린 결과”라며 “이번 연구는 우리의 편향된 평가가 역설적이게도 우리의 합리성에서 비롯됐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사회과학연구지원(SSK)사업으로 이뤄졌다. 연구결과는 생명과학 분야의 주요 학술지인 ‘비엠씨 바이올로지(BMC Biology)’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