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고독사' 위험 1인 가구 12만명 추산…연내 발굴 나선다

입력
2022.10.19 20:00
19면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 실태 조사
지난해 3만6,265 가구 복지서비스로 인계

# 서울 구로구에서 작은 공장을 운영하며 홀로 사는 이모(61)씨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경영난이 심화돼 지난해 11월 공장 문을 닫았다. 생계가 끊긴 이씨는 난방이 중단된 공장 지하실에서 판자를 깔고 거주해왔다. 정부복지 혜택에서 소외돼 있던 그를 발견한 주민센터는 기초생활수급자로 선정해 매달 54만 원 지급을 시작했다. 그 덕에 이씨는 올해 6월 다시 공장 문을 열고 일상을 회복했다.

서울시가 이씨와 같은 사회적 고립 위기에 처한 50대 이상 1인 가구 구하기에 나선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다. 시는 "연말까지 위기에 처한 1인 가구 12만 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진행해 위험가구로 판단되면 즉시 복지 서비스로 연결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 임대주택과 고시원 등 주거취약지역 거주 50대 이상 1인 가구 14만4,398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이 중 6만677가구에 대한 조사가 완료됐고, 절반이 넘는 3만6,265가구가 위험가구로 분류됐다. 조사를 받지 않은 8만3,721가구는 조사를 거부하거나 소재 파악이 안 돼 조사를 못했다.

지난해 실태조사에서 위험가구로 분류된 3만6,265가구는 소득이 없고, 주거가 불안정하며 가족이나 지인 등과 교류가 끊긴 지 오래된 가구다. 시 관계자는 “이들 대부분이 정부의 복지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는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다”고 말했다. 위험 가구 대부분은 생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3만2,825명)의 67.6%가 직업이 없었고, 기초생활수급자 비율도 54.6%로 절반을 넘었다.

사회적 고립감도 컸다. 응답자의 90.5%가 부모나 자녀, 형제 중 적어도 1명의 가족이 있다고 답했지만 이 중 28%는 연락조차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가 된 이유로는 43.9%가 이혼으로 가장 많았다. 이들 중 절반 이상(59.1%)이 질병이나 장애 등을 앓고 있다고 답했다. 시 관계자는 “소득이 없고, 주거가 불안정하며, 가족이나 지인 등과 교류가 전혀 없는 고위험군도 1,872명이나 됐다”며 “이 같은 고위험군에 놓인 1인 가구를 조기에 발견해 고독사 등 위험상황을 예방하는 게 급선무”라고 말했다.

올해 실태조사는 지난해 조사를 받지 않거나 거부한 8만3,721가구와 각 자치구에서 추가로 위험가구로 추정되는 4만690가구 등 총 12만 가구를 대상으로 한다. 김상한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복지사각지대 주민 중에서도 가장 돌봄이 필요한 사회적 고립위험 1인 가구를 대상으로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촘촘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강지원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