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출연연구기관 및 산하연구소 소속 직원의 평균 임금격차가 최대 5,000만 원 이상까지 벌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각 분야·기관에 따라 연봉 차이가 상당해 이공계 우수인력의 특정 기관 쏠림 현상은 물론 인력 유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윤두현 국민의힘 의원실이 18일 과기부 출연연구기관 등 36개 기관의 2019~2021년 평균 보수액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1억1,669만여 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한국전자통신연구원(1억1,184만여 원), 한국화학연구원(1억383만여 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1억208만여 원) 등 순이었다. 가장 낮은 곳은 한국과학연구원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6,619만여 원)로 36개 기관 평균 보수액인 8,920만여 원을 크게 밑돌았다.
각 기관별 신입사원 초봉과 10년 차 계약 연봉도 큰 차이를 보였다. 신입사원 초봉은 한국원자력연구원이 5,300만여 원으로 가장 많은 반면, 한국과학연구원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가 3,268만여 원으로 가장 적었다.
각 기관별 임금 '출발점'부터 큰 격차를 보이다 보니 임금 상승률이 높아도 실질적으로 받는 액수는 상대적으로 적을 수밖에 없다. 한국원자력연구원 10년 차 직원은 초봉에서 69%가 상승한 8,389만여 원을 받는다. 하지만 한국화학연구원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은 10년 차에 초봉보다 96.53% 상승했음에도 한국원자력연구원(10년 차 직원)에 한참 못 미치는 6,423만여 원밖에 받지 못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성과를 내더라도 직원들에 대한 처우는 크게 제자리걸음이라는 지적이다. 지난 6월 한국형 우주발사체 '누리호' 발사 성공을 이끈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대표적이다. 한국항공우주원은 10년 차가 되면 초봉보다 76%가 상승한 연봉을 받는다. 그러나 초봉 기준으로 과기부 산하 25개 출연연구원 중 23위인 3,825만여 원으로, 10년 차가 되어도 6,746만여 원을 받게 돼 여전히 하위권(19위)이다. 임금을 포함한 직원에 대한 처우가 연구 성과를 끌어내는 요소라는 점을 감안하면, 기관별 임금격차 조정 등에 따른 적절한 대우가 필요하다는 견해가 나온다.
윤 의원은 "각 기관별 두드러진 연봉 차이로 이공계 학생은 물론 차세대 연구자들의 특정기관 편중 현상이 가중되고, 우수 인력의 유출 가능성이 우려된다"며 "연구자들이 분야와 기관에 상관없는 급여·처우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