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자에서 일어나 왕복 6m를 걷고 의자에 다시 앉기까지 10초 이상 걸리는 노인은 신체 움직임이나 뇌ㆍ시각ㆍ청각ㆍ언어ㆍ정신 등에 장애가 생길 위험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손기영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은 국가건강검진 자료를 바탕으로 66세인 8만 명의 보행 능력과 이후 장애 등록 여부를 장기 추적한 결과, 보행 능력이 저하된 노인일수록 정상 노인에 비해 장애 발생이 1.6배 높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코호트 자료(2002~2015년)를 바탕으로 66세 노인 8만1,473명의 ‘일어서서 걷기(TUGㆍTimed Up and Go)’ 검사 결과와 이후 국가장애등록 여부를 평균 4.1년(최대 8.9년)간 분석했다.
TUG 검사는 균형 감각ㆍ다리 근력ㆍ보행 속도 등 노인의 신체 기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으로 생애 전환기인 66세 노인의 건강검진 항목에 포함돼 있다.
피검사자는 의자에서 일어나 3m를 걸은 뒤 반환점을 돌아 다시 의자에 앉게 되는데, 이때 걸린 시간이 10초 이상이면 신체 기능이 저하된 것으로 본다.
연구 대상자 8만여 명 가운데 29%가 TUG 검사에서 평균 11.76초를 기록해 신체 기능 저하 진단을 받았다. TUG 검사에서 정상 진단을 받은 그룹은 평균 7.20초로 비정상 그룹보다 4.6초 앞섰다.
이후 각 대상자의 국가장애등록 여부를 장기간 추적했더니 TUG 정상 그룹의 장애 발생은 1,000인 년으로 환산(대상자 1,000명을 1년간 관찰했다고 가정) 시 0.215명이었다.
반면 TUG 비정상 그룹은 장애 발생이 1,000인 년 당 0.354명으로 나타나 정상 그룹에 비해 장애 발생이 1.6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장애 종류는 뇌 손상, 시각 장애, 청각 장애, 언어 장애, 정신 장애 등으로 다양했다.
그동안 노인 보행 능력과 장애 발생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은 있었지만 장애 여부를 일상생활 같은 주관적인 기준으로 유추해 한계가 있었다.
이번 연구는 다양한 장애를 엄격하고 객관적으로 규정한 국가장애등록 자료를 바탕으로 보행 능력 저하와 실제 장애 발생의 상관관계를 입증했다.
노인의 신체 기능 약화는 다양한 건강 문제와 관련될 수 있는데 보행 능력이 저하된 노인이라면 노쇠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고 근력 운동과 충분한 단백질 섭취 등을 통해 건강 관리를 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손기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TUG 검사와 국가장애등록이라는 객관적인 자료를 근거로 노인의 신체 기능 저하가 향후 다양한 장애 발생 위험과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고 했다.
손 교수는 “중년에서 노년기로 넘어가는 생애 전환기 노인이라면 건강검진 등을 통해 노쇠 여부를 정확히 판단해 볼 필요가 있다”며 “신체 기능이 저하돼 있다면 대퇴사두근 강화에 도움이 되는 스쿼트ㆍ런지 등 근력 운동을 꾸준히 하고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하면서 건강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