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 원인 3위' 폐렴, 겨울 닥치기 전에 예방접종 등 대비해야

입력
2022.09.28 20:18


일교차가 커지는 요즘 같은 환절기에는 호흡기 질환에 노출되기 쉽다. 이 가운데 특히 폐렴에 걸리면 자칫 크게 고통을 받을 수 있다.

폐렴은 세균ㆍ바이러스ㆍ곰팡이ㆍ기생충 등 다양한 병원체에 의해 폐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폐는 기도를 통해 공기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데 이 과정에서 기도를 통해 병원체가 침입해 보통 염증이 시작된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사망원인 통계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사망자는 총 31만7,680명이었다. 가장 많은 사망 원인은 전체의 26.0%를 차지한 암이었다. 이어 심장 질환(9.9%), 폐렴(7.2%), 뇌혈관 질환(7.1%), 고의적 자해(자살)(4.2%) 등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10~30대에는 자살이 가장 큰 사망 원인이었으며 40대 이후부터는 암이었다.

지난해 통계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주요 사망 원인에 있어 암,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 폐렴, 자살 등은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특히 폐렴의 경우 2011년 10만 명당 사망률이 17.2%로 사망 원인 6위에서 2021년 44.43%로 2.5배 이상 증가하며 사망 원인 3위를 기록해 10년 새 순위가 크게 올라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흔히 폐렴은 기침ㆍ가래ㆍ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므로 감기나 독감, 코로나19 등과 혼동될 때가 많다. 개인 건강 상태나 폐렴 침범 부위 등에 따라 호흡곤란, 가슴 통증, 근육통, 두통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고령인은 면역 및 폐 기능 저하로 외부 병원체로부터 쉽게 감염되지만 20∼30%에서는 무증상이어서 치료 시기를 놓쳐 증상이 악화된 후 폐렴으로 진단받기도 한다.

따라서 감기 증상과 함께 고열ㆍ호흡곤란ㆍ화농성 가래ㆍ무기력 등이 나타나면 호흡기내과 전문의에게 폐렴 여부를 진단받아야 한다.

병원을 찾으면 문진과 함께 흉부 X선 촬영을 하며 폐렴으로 진단되면 원인 균을 찾기 위한 객담 검사, 염증 확인을 위한 혈액검사를 진행하며 필요에 따라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기관지 내시경 검사를 시행한다.

폐렴 원인 균은 폐렴구균 외에도 90여 종이기에 폐렴을 치료하려면 원인 균을 확인해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해야 한다. 원인 균에 따라 항생제 등 약물 치료에 하며 충분한 휴식과 함께 수분 및 영양 공급을 해야 한다.

건강한 성인은 대부분 항생제로 완치되지만 고혈압ㆍ당뇨병 등을 앓는 만성질환자나 면역력이 떨어진 영ㆍ유아, 65세 이상은 폐렴이나 합병증으로 생명까지 잃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이규민 대동병원 호흡기내과 과장은 “큰 일교차로 아침저녁 쌀쌀한 기온을 보이기 시작하는 환절기부터 차가운 겨울까지 주의 깊게 봐야 하는 질환이 있다면 폐렴”이라며 “폐렴은 증상이 없을 때도 있어 치료 시기를 놓치면 폐농양 등으로 치료 기간이 길어지고 심하면 늑막염ㆍ중증호흡곤란증후군 등 합병증으로 고생할 수 있다”고 했다.

질병 예방의 기본은 손 씻기이다. 손을 잘 씻는 것만으로도 개인 건강을 챙길 수 있으므로 습관화를 해야 한다.

폐렴은 독감과 마찬가지로 호흡기를 통해 전염이 되므로 노약자 및 영ㆍ유아, 만성질환자 등 폐렴 고위험군은 가급적 사람이 많은 곳에 외출을 삼가고 손 씻기, 마스크 착용 등으로 개인위생에 신경을 써야 한다.

흡연자라면 금연하며 충분한 수분 섭취 및 영양 관리를 하며 신체활동을 통해 건강 상태를 유지하고 고른 영양 섭취와 손쉬운 운동 등으로 면역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겨울이 시작되기 전 독감 예방 접종을 챙겨보는 것도 중요하다. 독감 바이러스로 인해 바이러스성 폐렴이나 2차 감염으로 세균성 폐렴이 발생할 때가 많아 기저질환이 있거나 고령이라면 반드시 접종해야 한다.

또한 폐렴 원인 균의 하나인 폐렴구균은 백신 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하므로 면역력이 떨어진 만성질환자나 고령인은 폐렴 위험을 낮추기 위해 예방접종이 필요하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