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이 6년 만에 총파업에 돌입했다. 주요 시중은행의 참여가 저조해 우려했던 '금융대란' 등 소비자 불편은 거의 없었다.
금융노조는 16일 서울 중구 서울시의회 앞에서 약 3만 명(주최 측 추산)이 모인 가운데 총파업에 나섰다. 금융노조가 총파업에 돌입한 것은 2016년 9월 이후 6년 만이다. 금융노조는 집회 후 대통령 집무실 인근인 용산구 지하철 4·6호선 삼각지역까지 가두행진을 벌였다. 금융노조는 이날 하루짜리 총파업 이후 30일 추가 총파업을 예고했다.
파업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①우선 실질임금 인상 요구다. 물가 상승으로 실질임금이 줄었다는 점과 최근 3년간 임금 인상률이 약 2%에 그쳤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이에 금융노조는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고려해 5.2%를 최종안으로 제시했고, 사용차 측은 2.4%로 맞서 협상이 결렬된 상태다.
②은행 점포 폐쇄 중단과 인력 확충도 요구했다. 지난해 말 은행 점포 수는 총 6,094개로, 2년 전 대비 615개가 감소한 상태다. 금융노조는 점포 폐쇄에 따른 인력유출과 금융 취약계층의 접근성 저하 등을 지적하고 있다. ③공공기관 혁신안 폐기도 주장했다. 금융노조는 윤석열 정부의 공공기관 혁신안을 향후 국책금융기관 민영화를 위한 사전작업으로 규정, 폐기를 주장했다. 그외 △국책은행 지방 이전 정책 폐기 △임금피크제 폐지 △노동시간 단축(주 4.5일제 시범 실시) 등을 주장했다.
그러나 총파업을 바라보는 대중의 시각은 싸늘한 분위기다. 특히 '연봉 1억 원' 이상 고소득자들의 파업을 두고 부정적 여론이 높은 상황이다. 게다가 이날 총파업 시간이 출근시간과 겹치는 등 광화문·용산 일대가 교통체증을 빚기도 했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연봉 1억 원은 일부 고위직에 한정된 얘기"라며 "불가피하게 시민 불편이 발생한 것에 대해서는 죄송하다"고 말했다.
조합원들의 파업 참여 열기도 저조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이날 총파업 참여자 수는 9,807명으로, 조합원 대비 참여율은 13.6%에 그쳤다. 6년 전 총파업(1만8,000명, 21%)과 비교하면 규모와 참여율 모두 사실상 반토막이 난 셈이다. 5대 시중은행(국민·신한·우리·하나·농협)의 파업 참여율은 0.8%에 그쳤다. 금감원은 "모든 은행에서 전산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가동됐고, 모든 영업점이 정상 영업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