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은 주거비 및 부채 증가로, 고령층은 의료비 등 재정적 사유로 경제활동 참가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이 낸 '노동공급 확대 요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경제활동참가율(경활률)은 2009년 4분기 60.9%에서 올해 2분기 64%로 늘어났다.
보고서는 급속한 고령화에도 불구하고 경활률이 증가하는 배경으로 청년층과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가를 꼽았다. 지난해 청년층과 고령층의 경활률은 각각 2010년 대비 4%포인트, 7.3%포인트 늘어 핵심노동연령층(30~59세) 증가율(2%포인트)을 크게 뛰어넘었다.
청년층의 구직이 늘어난 것은 ①높은 대학 진학률 ②미혼여성 비율 증가 등 사회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봤다. 또 최근 1인 가구 증가세와 더불어 생계를 스스로 책임지는 ③청년 가구주가 늘어난 것도 노동시장 이탈을 막고 있다는 분석이다. 청년 가구주 비중은 2015년 9.3%에서 올해 상반기 15.8%로 1.7배 늘었다.
보고서는 청년 가구주의 대다수(81%·지난해 기준)가 전·월세를 살고 있는 탓에 주거 비용 상승이 구직 의사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2017년부터 4년간 월세 가구의 주거비 부담은 1.2배 늘었다. 빚을 안고 사는 청년 가구주가 늘어난 것, 빚 규모가 불어나는 것도 일하려는 또 다른 이유다. 부채가 있는 청년 가구주는 2017년 47.7%에서 지난해 56.1%로 증가했고, 평균 대출액은 같은 기간 1.3배 늘었다.
고령층 노동 공급 확대는 ①생활비 부족 등 재정적 사유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적 사유로 계속 근로를 희망하는 고령층은 지난해 32.9%로 건강 유지·일하는 즐거움 등 기타 사유(19.6%)라고 답한 이들보다 많았다. 보고서를 쓴 송상윤 과장은 "절대적으로 빈곤해진 고령층은 과거에 비해 많지 않으나, 기대수명이 늘어나고 건강에 대한 관심으로 의료비 지출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밖에 부(富)가 부를 만들어 내는 ②자산 불평등의 확대, 민간 부문보다 학력·연령 문턱이 낮은 ③공공 부문 일자리 증가가 취업시장의 문을 두드리게 만들었다.
청년·고령층 다중채무자도 다른 연령에 비해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3년간 청년층 다중채무자는 22.7%(30만1,000명→36만9,000명), 고령층은 29.4%(42만4,000명→54만9,000명) 늘었다. 다중채무자는 3개 이상의 금융사에서 돈을 빌린 사람으로 빚을 돌려막는 경우가 많아 우리 경제의 '약한 고리'로 지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