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에서 ‘제2의 철의 여인’이 탄생했다. 리즈 트러스(47) 외무장관이 영국의 새 총리로 선출됐다. 트러스 총리는 '원조 철의 여인'인 마거릿 대처(재임기간 1979~1990) 전 총리의 후계를 자임하는 강경 보수다. 영국 역대 세 번째 여성 총리이기도 하다.
‘트러스 시대’ 막은 올랐지만 앞날은 가시밭길이다. 40년 만에 최악의 물가 상승(인플레이션)과 우크라이나 전쟁이 불러온 에너지 위기에 직면한 나라를 이끄는 막중한 과제를 떠안게 됐다.
5일(현지시간) 영국 집권 보수당은 당원 약 16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당대표 투표에서 트러스 총리가 57.4%(8만1,326표)의 지지율을 얻어 승리했다고 밝혔다. 의원내각제 국가인 영국에선 집권당 대표가 총리직을 자동 승계하는 만큼, 그는 불명예 퇴진하는 보리스 존슨 총리의 뒤를 이어 다우닝가 10번지 총리 관저도 차지하게 됐다.
경선 과정에선 인도계 리시 수낙(42) 전 재무장관(득표율 42.6%·6만399표)이 줄곧 1위를 지켰지만, 고연령·고소득 백인 보수당원들의 표심은 막판에 백인인 트러스 총리에게 쏠렸다. 트러스 총리는 당선 발표 직후 “세금을 줄이고 경제 성장을 위한 과감한 계획을 실행하겠다”며 “에너지 요금뿐만 아니라 공급에 관한 장기적인 문제들을 다루면서 에너지 위기를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공식 취임은 6일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알현 직후다. 보수당은 7월 존슨 총리가 파티게이트와 측근 성폭력 비호 논란으로 자진 사퇴를 선언한 후 후임 총리 선출 작업을 벌여왔다.
트러스 총리는 대처와 테리사 메이(2016~2019) 전 총리에 이은 영국의 역대 세 번째 여성 최고지도자다. 그는 경선 기간 대처 전 총리를 연상시키는 노선을 추구해왔다. ‘대처리즘’으로 대표되는 작은 정부와 친시장주의 정책을 부르짖은 것은 물론, 의상, 말투, 포즈까지 모조리 따라해 “철의 여인 스타일을 훔쳐 정치적 입지를 넓힌다"(일간 텔레그래프)는 평가도 받았다.
낙승을 거뒀지만, 트러스호(號) 앞날은 험난하다. 허니문을 즐길 새도 없이 치솟은 물가와 에너지 요금 급등에 따른 생계비 문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러시아의 가스 공급 중단으로 10월부터 영국 가계의 에너지 요금은 80%가량 뛸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겨울 누군가는 ‘난방이냐 빵이냐’ 선택의 갈림길에 서게 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 7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10%대로 급등한 데 이어 "내년에는 22%까지 치솟을 것"(골드만삭스)이라는 예측마저 나왔다.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이 “올해 4분기부터 내년 말까지 긴 경기 침체를 겪을 것”이라고 경고할 정도로 영국 경제는 최악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2분기에는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식민지였던 인도에 추월당하는 굴욕도 겪었다.
통화 가치도 고꾸라지고 있다. 달러 대비 파운드화 가치는 올해 들어 15% 하락했다. 세계 외환시장을 강타한 ‘강달러’에 영국의 경제 상황이 더해진 결과다. 파운드화 약세가 지속되면 수입 물가가 더 뛰면서 인플레이션이 심화하는 악순환이 불가피하다.
트러스 총리의 경제 구상, 이른바 ‘트러소노믹스’가 경제를 더욱 어렵게 만들 거라는 불신도 뜨겁다. 그는 “경제 불평등보다 성장에 초점을 맞춘 정책을 펼치겠다”며 △법인세율 인상 철회 △환경부담금 면제 등 강도 높은 감세 정책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전체 감세 규모는 300억 파운드(약 47조7,000억 원)에 달한다.
이 같은 감세 정책은 경기 부양에 효과적이지만, 물가 상승세에 기름을 끼얹는 꼴이기도 하다. 국가 재정을 악화시키고 공공ㆍ필수 부문을 더욱 열악하게 만들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같은 당 중진 데이비드 데이비스 의원은 “1979년 대처 총리에 이어 전후(戰後) 총리 중 두 번째로 어려운 시기를 겪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트러스 총리는 중국에 대한 강경 기조를 이어갈 전망이다. 그는 외교·군사 분야의 ‘매파’를 자처해왔다. 영국 데일리메일은 “트러스는 중국을 러시아와 마찬가지로 영국에 위협을 주는 존재로 분류할 것”이라고 단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