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심한 사과'를 아시나요?

입력
2022.09.04 22:00
27면

얼마 전 어떤 인터넷 카페에서 벌어진 논란이 전국적인 관심을 받은 일이 있었다. 회원들에게 사과하는 공지를 올리면서 '심심한 사과 말씀드립니다'라는 표현을 쓴 것이 발단이었다. 이 글을 읽은 회원들이 '제대로 된 사과를 해도 모자랄 판에 심심하게 사과를 하다니 말이 되냐'며 화를 내는 댓글을 단 것이 화제가 된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최근 젊은 세대가 '십분', '금일', '병역' 같은 한자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서 벌어지는 해프닝들이 잦아진 터라 이번 일을 계기로 문해력이 부족한 청년들을 질타하는 목소리가 커지기도 했다.

그런데 이 논란을 보면서 나는 문득 '사과'는 한자로 뭐였더라 하는 엉뚱한 궁금증을 갖게 되었다. 돌이켜보니 자주 쓰는 말이면서도 정작 이 말이 어떤 뜻이었는지는 제대로 몰랐던 것이다. 한자를 찾아보니 '사례할 사(謝)'에 '지날 과(過)', 그러니까 '지나간 일에 사례하는 것'이라는 뜻이다. 미안하다는 의미를 지닌 단어에 '감사'와 같은 한자가 쓰였다는 것에 잠시 놀랐다. 생각은 꼬리를 물고 이어졌다. 그럼 먹는 '사과'는 한자로 뭐지? 사과는 모래 사(沙)에 과일 과(果)라고 한다. 사과가 모래질의 토양에서 잘 자라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는 등 여러 설명들이 있는데 어쨌든 사과가 '모래 과일'이라는 뜻일 거라고는 한 번도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게다가 사과와 같은 뜻인 줄 알았던 '능금'은 사과와 다른 별도의 과일이고 심지어 한자로는 '임금'(林檎)으로 쓴다고 한다. 하나같이 난생 처음 듣는 이야기들이다.

돌이켜보면 기성 세대들도 그런 혼동과 착각을 적지 않게 겪으며 살아왔다. 나는 모래폭풍으로 농장을 잃은 미국 농민들이 66번 도로를 따라 캘리포니아로 떠나는 여정을 그린 존 스타인벡의 소설 '분노의 포도'에서 설마 '포도'가 정말 먹는 포도일 거라고는 꿈에도 모르고 소설 속의 '포장도로'를 줄인 말일 거라고 생각했었다. 아일랜드의 시인 예이츠의 유명한 시 '이니스프리의 호도'가 먹는 호도가 아니고 '호수 섬'이라는 것을 뒤늦게 아신 분들도 적지 않을 것이다. 따지고 보면 '심심하다'라는 말이 심할 심(甚), 깊을 심(深)이라서 '심하게 깊다'는 뜻이라는 걸 알고 있던 분들은 얼마나 될까 싶다. '그것도 모르나'라고 으쓱거리기엔 기성 세대들도 맥락과 경험을 통해 대충의 의미는 알고 있지만 정확하게 무슨 뜻인지 모르고 사용하던 말들도 적지 않다는 것이다.

이 모든 지식들을 다 알 수도 없고 전부 알 필요도 없다. 다만 중요한 것은 자세의 문제다. '심심' 논란의 핵심은 유식과 무식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서로 소통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질 거라는 두려움일 것이다. 그렇다면 '그런 잘 쓰지도 않는 한자어 모르면 뭐 어때서?'라고 뻗대거나 '이런 것도 모르는 게 말이 되나?'라고 윽박지르는 태도 모두 '대화와 공감'을 포기한 태도라는 점에서 문제라고 할 것이다. 뒤집어 보자면 기성 세대 역시 젊은 세대들이 자주 사용하는 용어들 가운데 무슨 의미인지 전혀 모르는 것들이 많지 않을까? 서로를 타박하기에 앞서 힘써 배우고 이해하려 노력하는 마음이 앞서야 할 것이다. 우리가 진정으로 안타까워하는 게 '소통'의 문제라면, 그를 위한 기본적인 전제는 서로에 대한 '존중'이라는 점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곽한영 부산대 일반사회교육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