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여기 있소"... 재개발 가림막에 빼곡한 이전 안내문

입력
2022.09.03 18:00
16면
세운상가 재개발로 뿔뿔이 흩어진 시계 수리점들
철거 공사 가림막에 손글씨 '이전 안내문' 빼곡
디지털 시대, 수십 년 단골 기다리는 아날로그 이정표



700m가량 늘어선 공사장 가림막을 따라 걷다 보니 누군가 손으로 적은 메모들이 눈에 띈다. '땜 금성사 길 건너 세운스케(퀘)어 2층입니다' '바다극장 광장시장 직진 → 수도직물' 등등. 전화번호는 필수, 약도도 간간이 눈에 띈다. 모두 점포 이전 안내문들이다. 오랜 세월 가림막 너머에서 삶을 영위하다 다른 곳으로 떠난 이들이 남긴 마지막 연결의 끈이자 단골들을 위해 세워둔 이정표다.

서울 4대문 안 최대 재개발 사업으로 꼽히는 종로구 세운지구 중 4구역은 옛 예지동 시계골목이 자리 잡은 초고밀도 상업지구였다. 지난달 31일 철거작업이 막바지에 달한 이곳에서 반파된 외곽 건물 몇 동을 제외하고는 대다수가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렸다. 세운상가와 맞닿은 외벽을 따라 노점상 서너 곳만이 아직 손님을 받고 있을 뿐이다.

예지동 시계골목에는 시계 수리점 말고도 귀금속 가게와 전파상 또한 적지 않았다. 건물이 헐리자 이곳에서 장사하던 상인들은 맞은편 세운스퀘어, 종로 귀금속거리, 인근 지하상가 등으로 저마다 살길을 찾아 떠나야 했다. 널찍이 둘러쳐진 울타리에 마지막 흔적만 남겨둔 채.





재개발 이전에도 ‘시간이 멈춘 곳'으로 통할 만큼 옛스러운 골목이다 보니, 떠나는 이들의 소통 방식 또한 아날로그 그 자체다. 소셜미디어(SNS)나 인터넷을 통해 간편하고 정확하게 알릴 수 있음에도, 굳이 철판 가림막에 마커로 꾹꾹 눌러 쓴 이유다. 어쩌면 손가락 스크롤 대신 직접 발품 팔고 온 단골들을 위한 작은 배려일 수도 있겠다.

손글씨 안내문 중엔 새로 이전한 점포의 정확한 주소 대신 ‘어디어디 옆’처럼 대충 적어둔 경우가 많다. 나름 유명하다는 그 '어디어디'를 중심으로 길을 가르쳐주다 보니, 이 동네를 이미 꿰고 있지 않으면 찾기 어렵지만, 상인이든 손님이든 이 동네 토박이들끼리는 세상 쉬운 '암호'가 아닐 수 없다.

아무런 설명 없이 가게 이름과 연락처, 혹은 간단한 위치만 적은 안내문도 눈에 띈다. 전화하면 다 가르쳐 드린다는 뜻일 게다. 서로 무엇이 필요한지 무엇을 해줄 수 있는지 너무 잘 아는 사람들끼리 덧붙이는 설명은 필요 없기 때문이다.


편집자주

무심코 지나치다 눈에 띈 어떤 장면을 통해 우리 사회의 다양한 사연들을 소개하려 합니다. 시선을 사로잡는 이 광경, '이한호의 시사잡경'이 생각할 거리를 담은 사진으로 독자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이한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