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평균 15만 대 차량이 통행하는 서울 성산대교 바닥판에서 발견된 균열은 심각한 안전 문제로 연결되는 수준은 아니라는 점검 결과가 나왔다. 더구나 교량 붕괴로 직결되는 철근 문제가 아니고 소모품에 해당하는 바닥판 문제라 안심해도 된다는 얘기다. 하지만 서울시는 균열이 발생한 부분에 대해 전면 보수를 진행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24일 "성산대교 남북단 접속교 구간 바닥판에서 발견된 균열은 0.2㎜ 이하로 문제가 없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에 따르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허용 균열폭은 0.3㎜ 이내다. 조사단은 40톤 트럭 두 대를 통과시켜 교량이 견디는 정도를 측정한 실험에서도 허용 기준치인 0.064~0.074㎜보다 낮은 0.06㎜ 이하 수준의 균열 반응이 나왔다고 했다.
앞서 시는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성산대교 안전성 검증 합동조사단'을 구성해 정밀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단에 따르면 균열은 공사 중 통행 차선 확보를 위해 임시 배치된 바닥판 위에서 대형크레인이 가설 작업을 하면서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조사단장을 맡은 김상효 연세대 명예교수는 "임시 바닥판이 설치된 곳에 대형크레인 지지대를 올려놓는 과정에서 바닥에 실린 하중이 커져 균열이 일어났다"면서 "이 공법으로 시공하지 않은 부분에는 균열이 전혀 생기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조사단은 바닥판과 바닥판 지지 구조물인 '거더'를 결합해주는 충진재(모르타르) 부족 부분도 확인했다. 김 교수는 "40년간 쓰다보니 거더가 틀어진 곳도 있다"며 "현장 인부의 부주의 때문에 충진재가 조금 차지 않은 곳을 발견해 보강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시는 11월까지 보수 공사를 진행하는 한편 지연된 3단계 바닥판 공사는 이번에 나온 지적사항을 반영, 전반적으로 재설계해 시공해간다는 계획이다. 1980년 건설된 성산대교에 대해 시는 지난 2017년부터 3단계에 걸쳐 성능개선 공사를 진행 중이다. 지난해 3월 2단계 공사가 끝난 뒤 안전점검에서 남북단 접속교 구간 바닥판 균형이 발생해 국토부 산하 국토안전관리원을 통한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했고,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합동조사까지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