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 앞에서 고기 굽고 술판"...참다 못한 스님들, 백운계곡 산길 막았다

입력
2022.08.17 16:20
16면
전통 사찰 흥룡사, 계곡 등산로 일시 폐쇄
일부 관광객의 불법 취사 등으로 첫 조치
"쓰레기 술판 등 무질서 감당 못해 불가피"

“절이 눈 앞에 뻔히 보이는데, 고기 굽고 술까지 마시니 참을 수 있겠습니까."

경기 포천시 백운계곡 관광지 내 전통 사찰 흥룡사가 계곡 등산로를 일시 폐쇄했다. 일부 관광객이 사찰 계곡까지 올라와 음식을 해먹고, 쓰레기 무단투기까지 하자 내린 조치다. 최근 백운계곡 식당 주인들이 자신들이 싸온 음식만 먹고 가버리는 얌체 관광객 때문에 주차장 이용을 막은 데 이어, 인근 사찰까지 관광객 무질서에 참다 못해 대응에 나선 것이다.

17일 포천시에 따르면, 흥룡사는 지난 8일부터 10월까지 백운계곡 관광지(3.8㎞)와 이어지는 흥룡사 소유의 백운산 계곡 등산로 2㎞를 폐쇄했다. 신라시대 도선국사가 창건한 흥룡사가 백운계곡 등산로를 막은 건 1957년 사찰 재창건 이후 처음으로 알려졌다.

기자가 이날 찾아간 흥룡사 입구에는 ‘계곡 내 취사와 음주, 쓰레기 투기, 문란 행위 등으로 등산로 출입을 통제한다’는 내용의 안내문이 걸려 있었다. 백운계곡 지류인 등산로는 울창한 숲이 어우러져 관광객들이 빠지지 않고 들리는 길이다.

흥룡사가 수십 년 개방해 온 등산로를 폐쇄한 것은 일부 관광객의 무질서한 행위로 인한 피해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까지 이르렀기 때문이다. 흥룡사의 한 스님은 “주말이면 수십 명이 사찰 소유인 계곡에 몰려와 고기를 굽고 술판까지 벌이면서 쓰레기까지 무단으로 투기하고 있다"며 "더 이상 숲과 계곡이 망가지는 걸 두고볼 수 없어 출입을 막았다”고 토로했다. 술에 취한 관광객들이 낯뜨거운 모습을 연출하는 모습도 종종 포착된다는 게 흥룡사측 얘기다. 등산로 폐쇄 이전까지 흥룡사는 문제 해결을 위해 포천시도 찾아갔고, 관광객들을 상대로 주의를 당부했지만 무용지물이었다.

등산로 폐쇄 이후 스님과 관광객들간 시비가 붙는 일도 많아졌다. 수십 년간 개방된 등산로를 갑자기 이용하지 못하게 된 일부 관광객들이 "스님이 자비가 없다" "사찰 땅이 맞느냐”며 항의한다는 것이다. 흥룡사 측은 "일부 관광객은 출입통제 시설물을 훼손하려는 시도까지 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흥룡사측은 지금같은 상황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폐쇄 기간을 더 이어갈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흥룡사 등산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경기지사 시절 추진한 ‘계곡하천 정비사업’ 이후 청정계곡으로 거듭나면서 관광객이 급증했다.

이종구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