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에게 상대적으로 가혹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저소득층 실직자 10명 중 4명이 코로나19 영향으로 퇴직했을 정도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3일 공개한 '코로나19가 취약계층 직장 유지율에 미친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코로나19 사태 첫 해인 2020년 저소득층(중위소득 50% 미만)의 실직률이 21.5%에 달했다. 중소득층(중위소득 50∼150%·10.2%)의 2배 수준이며 고소득층(중위소득 150% 초과·4.8%)과 비교하면 4배가 넘는 비율이다.
문제는 이런 실직에 코로나19가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다. 저소득층 실직자 가운데 39.1%가 코로나19 탓에 직장을 떠났다(통상적인 경제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직 규모 제외해 추정)는 게 한경연 분석이다. 중소득층에서는 실직자의 31.1%가 코로나19로 인해 직장을 잃었고, 고소득층 실직은 사실상 코로나19와 무관했다. 유진성 한경연 선임연구위원은 "저소득층일수록 상대적으로 안정도가 떨어지거나, 코로나19에 취약한 산업에 종사했다는 추정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소득계층별 차이는 성별, 산업군별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청년층과 여성의 경우 같은 기간 코로나19로 인한 실직이 각각 31.63%, 29.30%나 된 반면 남성은 코로나19가 유의미한 영향을 줬다는 수치가 나오지 않았다.
산업별로는 숙박 및 음식점 실직자 10명 가운데 약 3명(31.70%)이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았고,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에선 실직자 10명 중 5.5명(55.3%)이 코로나19로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조사됐다.
유 선임연구위원은 "코로나19에 취약한 산업에서 매출감소가 이뤄지며 구조조정 등이 집중됐음을 알 수 있다"며 "고용위기시 정부의 일회성 일자리 창출보다는 직업훈련과 연계하는 정책과 동시에, 고용 경직성 완화, 고용 인센티브 확대 등 민간부문에서 일자리 창출 가능성을 높이는 식으로 노동시장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