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28만명 확진 예측에도… 정부 "거리두기는 최후의 수단"

입력
2022.07.19 15:34
8면
BA.5 변이 국내 47.2%, 해외 유입 62.9%
감염재생산지수 1.40→1.58
'켄타우로스' 지역사회 확산 우려도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다시 7만 명대로 급증한 가운데 전파속도가 빠르고 면역 회피 특성을 가진 오미크론 하위 변이 BA.5가 사실상 우세종으로 올라섰다. 감염재생산지수(Rt)는 1.58로 전주(1.40)보다 상승했고 국내에 상륙한 BA.2.75(일명 켄타우로스)의 지역사회 감염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6차 대유행이 사실상 시작됐지만 방역당국은 사회적 거리두기 없이 대응할 방침이다.


BA.5 국내외 통합 검출률 52%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이달 10~16일 국내 오미크론 하위 변이 검출률 분석 결과, BA.5가 47.2%로 확인됐다고 19일 밝혔다. BA.5 검출률은 전주보다 23.5%포인트 상승한 반면 BA.2.3은 23.8%(-16.5%), '스텔스 오미크론'으로 불리는 BA.2는 10%(-14.1%)로 떨어졌다. 방역당국은 검출률이 50%를 넘으면 우세종으로 보는데, 국내 기준으로도 BA.5의 우세종이 임박했다.

해외 유입 사례 중에서는 BA.5가 검출률 62.9%로 압도적인 1위다. 국내 발생과 해외 유입을 합친 전체 검출률도 BA.5가 52%로 가장 많다. 지난 5월 12일 처음 확인된 BA.5는 불과 8주 만에 재유행을 이끌고 있다.

BA.5는 검출 증가 속도가 BA.2보다 35.1% 빠르고 중화항체 생성 수준은 BA.2 대비 3분의 1 정도라 백신 접종이나 감염으로 면역력이 형성된 사람도 쉽게 감염 또는 재감염될 수 있다.

임숙영 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국내 기준 BA.5 검출률이 50%에 근접해 곧 우세종이 될 것"이라며 "해외 유입도 지속될 것으로 보여 확진자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잠복 중인 시한폭탄 '켄타우로스'

BA.2.75도 재유행을 주도할 복병으로 잠복하고 있다. BA.5보다 전파속도가 빠르고 면역 회피 특성이 더 강한 것으로 알려진 BA.2.75는 지난주 인천에서 처음 확진자가 확인됐다. 역학조사를 벌인 방역당국은 밀접접촉자 4명 가운데 추가 감염자는 없는 것으로 파악했다.

하지만 해외여행 이력이 없는 첫 확진자에게 바이러스를 옮긴 선행 감염자는 아직 오리무중이다. 인천 지역의 최근 확진자 대상 변이 분석으로 감염경로를 추적 중이다. 박영준 방대본 역학조사팀장은 "무증상으로 전파가 가능하기 때문에 추가 발생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BA.2.75로 인한 발생 규모는 시간이 지나며 증가할 텐데, 여러 요인이 작용하고 있어 아직 예측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환자 1명이 주변인 몇 명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하는지 나타내는 Rt는 지난주 1.58까지 높아졌다. 지난달 첫째 주 0.74로 떨어졌다가 확진자 '더블링'(전주 대비 2배 증가)이 계속되며 같은 달 마지막 주 1.05로 올랐고, 이후 3주 연속 1 이상으로 유지됐다.

방대본은 최근 확산세를 고려할 때 다음 달 중 하루 확진자가 10만 명대로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유행의 정점은 내달 중순이나 말쯤, 확진 규모는 최대 28만 명으로 예측했다.

이상반응 지원 확대로 4차 접종 유도

백신 4차 접종 대상을 50대와 18세 이상 기저질환자로 확대한 방역당국은 이날 '코로나19예방접종피해보상지원센터'를 열고 백신으로 인한 피해 보상 강화에도 나섰다. 지원센터는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과 별도로 피해보상만 담당하는 조직이다.

의료비 지원 상한을 3,000만 원에서 5,000만 원으로 올렸고, 사망위로금도 5,000만 원을 높여 1억 원을 준다. 백신 접종 이후 42일 내 사망했는데, 부검 결과 사망원인이 '불명'인 경우 위로금 1,000만 원을 새로 지급하기로 했다. 지난 12일까지 의료비 지원과 사망위로금 대상자는 각각 143명, 5명이다.

다만 예방접종을 강조하는 방역당국은 거리두기 시행에 대해서는 계속 '거리두기'를 하고 있다. 박혜경 방대본 방역지원단장은 "통제 중심의 거리두기는 지속 가능하지 못하다고 판단해 매우 위중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한 이전 같은 거리두기는 최후의 수단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창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