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만나는 추경호·옐런, '통화스와프' 논의 여부에 촉각

입력
2022.07.17 17:00
원·달러 환율, 13년 만에 최고치
외환보유액도 감소, 시장 불안 확산

원·달러 환율이 경제위기 마지노선으로 여겨진 1,300원을 돌파한 지금, 시장은 두 사람의 만남을 주목하고 있다. 한·미 재무장관이 '통화스와프' 논의의 물꼬를 틀지, 양국의 단골 의제인 금융·외환시장 안정성 강화에 어떤 묘수를 내놓을지 촉각을 세우고 있는 것이다.

기획재정부는 추경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이 19일 방한하는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과 재무장관회의를 한다고 17일 밝혔다. 미국 재무장관 방한은 2016년 6월 제이콥 루 전 재무장관 이후 6년 만이다. 당시 양국 재무장관은 금융시장 불안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글로벌 금융안전망 강화에 공조하기로 했다. 그때보다 더 위급한 상황이라 이번 양자 회담의 무게가 더 무거울 수밖에 없다.

앞서 5월 한·미 정상이 회담 직후 “지속 가능한 성장과 금융 안정성을 증진하기 위해 외환시장 동향에 관해 긴밀히 협의해 나갈 필요성을 인식했다”고 밝힌 만큼 이번 재무장관회의에선 양국이 좀 더 구체화한 방안을 내놓을 것이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추 부총리도 “금융 안정과 외환시장 협력 방안에 관해 폭넓게 논의하면서 정책 공조에 대한 이야기가 오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미국의 공격적인 긴축 정책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장기화 등으로 국내 외환시장에는 이미 경고등이 켜진 상태다. 원·달러 환율(16일 종가 1,326.1원)만 해도 2009년 4월 29일(1,340.7원) 이후 13년 2개월여 만에 최고를 찍었다. 설상가상 외환보유액은 환율 방어를 위한 달러 매도 여파로 지난달에만 94억3,000만 달러가 쪼그라들었다. 글로벌 금융위기 파고가 불어 닥쳤던 2008년 11월(117억5,000만 달러) 이후 13년 6개월 만의 최대 감소폭이다.

환율 방어를 위한 한미 통화스와프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결국 국내 물가도 오를 수밖에 없다”며 “한·미 통화스와프를 진행하면 환율과 물가 안정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통화스와프는 일종의 마이너스 통장과 유사한 개념으로, 유사시 자국 화폐를 맡기고 미리 정해진 환율로 상대국 통화를 빌려 올 수 있다. 한미 통화스와프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300억 달러 규모로 처음 체결됐다. 이후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하고자 2020년 다시 도입됐다가 지난해 말 종료됐다.

다만 통화스와프는 미국 재무부가 아닌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소관 사항인 만큼 양국 재무장관회의에서 이를 구체화하긴 한계가 있을 거란 전망이 나온다. 기재부 관계자는 “통화스와프는 재무장관 권한 밖의 일이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논의되긴 어려울 수 있다”고 전했다.


세종= 변태섭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