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α) 세대를 키우는 MZ세대 부모의 고민

입력
2022.07.16 00:00
22면

필자는 요즘 평균보다 조금 이른 나이인 27세에 결혼했다. 그보다 3년이 앞선 어느 날 대학 캠퍼스의 이른 새벽 6시 수영장에서 힘차게 물살을 가르다 마주친 동갑내기 여성에 첫눈에 반했던 순간이 모든 이야기의 시작이었다. 10여 년 세월이 흘렀고 그 사이 8세 아들과 5세 딸이 세상에 나왔다. 분만실에서 막 세상에 나온 아이를 받아들고 의사 안내에 따라 탯줄을 자르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아이들은 어느덧 현란한 언어를 구사하는 존재감 묵직한 가족 구성원이 되었다.

일과는 사뭇 단조롭다. 아침 일찍 일어나 하루 준비를 하고 아이들과 등교 직전 함께 식사를 한다. 문득 1950년대에 태어나신 아버지와 어머니께서 필자가 필자의 아이들과 나이가 같았던 시절 해주셨던 밥상머리 교육이 떠오른다. 밥을 먹을 때 최소한으로 지켜야 할 예의에 대한 내용이었다. 어린 시절 필자는 어른들의 말이 옳다고 생각하고 그저 따랐다. 물음보다 수긍이 앞섰고 질문보다는 '네 알겠습니다'가 더 적합한 시기였다. 반면 필자의 아이들은 많이 다른 것 같다. 하나를 이야기하면 아이들의 꼬리 질문이 연이어 따라온다. 가끔 대화를 하다보면 필자부터 말문이 턱하고 막힌다.

경건한 마음으로 쌀 한 톨이 밥상 위에 오르기까지 고생해주신 농부들께 감사한 마음으로 밥숟가락을 집어들려는 찰나 후다닥 마주앉은 아이들의 밥숟가락과 젓가락이 움직이는 것을 본다. 마음속으로는 넘어가 말아를 고민하지만 어디 가서 밥상머리 교육 못 받았다 혼이 날까 아주 근엄한 표정과 말투로 아이들에게 이야기한다.

식사를 할 때는 어른들이 먼저 식사를 하시면 그때 아랫사람이 밥을 먹는 거야라고 가르치면 아이들은 나를 똘망똘망 쳐다본다. "왜요?" 순간 머리가 하얘진다. 이건 생각해본 적이 없는 질문의 루트이기 때문이다. 그냥 그런 거니까 그런 거야라고 둘러댔지만 아이들의 표정은 납득이 안 되어 썩 내켜하지 않는 표정이다. 그러던 중 요즘 많은 시간을(부모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유튜브에 몰두하여 방대한 지식을 흡수하고 있는 초1 아들이 세 살 어린 여동생에게 대신 설명을 한다. "아마도, 밥에 독이 들어 있을지도 모르니깐 엄마, 아빠가 먼저 드시고 안전하다 싶으면 아이들이 먹는 거라서 그런가보다" 하고 진지하게 설명한다.

아이들을 키우다보면 이런 경우가 많다. 21세기 아이들을 키우는 1980년대생 청년 아빠, 엄마가 겪는 말하지 못할 고충이 있다. 1940~1950년대 (외)할아버지, (외)할머니로부터 받은 자녀교육이 밀레니얼세대, Z세대를 뛰어넘어 이제 알파(α)세대로 나아간 우리 자녀들에게 어떻게 전달돼야 할지, 어느 부분까지가 지켜져야 하고 어떤 부분들은 그렇지 않아도 되는지 고민이 될 때가 많다.

지역에 따라 청년에 대한 나이 범주가 다르지만 시골에서는 청년인구가 없어 45세를 청년으로, 지방 대도시에서는 39세와 34세를 청년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몇몇 청년 인구가 과밀한 지역에서는 29세까지를 청년으로 규정하기도 한다. 청년으로 대변되는 이미지는 분명 대학생을 전후한 느낌이 강하기도 하지만 '청년 부모'들도 상당히 많다. MZ세대 부모를 위한 특화된 교육 프로그램이 있으면 어떨까?


추현호 (주)콰타드림랩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