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이 해마다 늘면서 국내 주요 사망 원인 4위일 정도로 치명적인 병이다. 뇌졸중이 치명적인 이유는 뇌졸중센터 지역 불균형과 인력ㆍ자원 부족때문이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경복 대한뇌졸중학회 정책이사(순천향대 서울병원 신경과 교수)는 1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뇌졸중 환자의 78% 이상이 60세 이상 고령인”이라며 “우리나라가 고령 사회에 진입하면서 뇌졸중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은 점점 늘어날 것”이라고 했다.
뇌졸중은 뇌 혈류 장애로 갑자기 발생한다. 치료가 늦어지면 후유장애가 발생하거나 생명을 위협받을 수 있는 만큼 빠른 치료가 중요하다.
하지만 처음 방문한 병원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환자가 많다. 2016~2018년 발생한 뇌경색(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20%는 첫 번째로 방문한 병원에서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하고 다른 병원으로 옮겨졌다.
제주도에서는 9.6%가 다른 병원으로 옮겨졌고, 전남도에서는 44.6%가 병원을 옮겨 지역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 전문 의료 인력과 센터의 ‘지역 불균형’으로 제때 치료를 못 받는 환자들이 많다는 것이다.
강지훈 학회 병원전단계위원장(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은 “지역응급의료센터는 올해 5월 기준 215개이지만, 표준 치료가 가능한 뇌졸중센터는 67개뿐”이라고 했다.
뇌졸중센터는 서울·경기·부산 등에 밀집해 있다. 차재관 학회 질향상위원장(동아대병원 신경과 교수)은 “전남·전북·경북·강원 등 고령인구 비중이 20% 이상인 초고령 사회 지역은 뇌졸중센터를 확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2017년에는 뇌졸중 집중치료실에 대한 수가가 신설됐다. 하지만 저수가 문제로 제대로 운영되지 않고 있다. 신경과 전문의 인력도 부족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8년 자료에 따르면 전국 163개 응급의료센터 중 24시간 뇌졸중 진료가 가능한 곳은 113개뿐이다.
대한뇌졸중학회는 뇌졸중을 제때 적절하게 치료받을 수 있도록 △환자 이송 시스템 강화 △응급의료센터 분포만큼 뇌혈관질환센터 구축 △뇌졸중센터의 지속적인 확장 등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