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절되지 않는 논문 표절...이번엔 서울대 연구팀

입력
2022.06.27 04:30

윤성로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고 권위의 인공지능(AI) 학회에 표절 논문을 제출한 사실이 드러났다. 윤 교수는 지난 정부에서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장을 맡았던, 촉망받는 공학자라는 점에서 더욱 실망스럽다.

표절 논문은 영상 속 빛의 데이터 인식 등과 관련된 내용으로 해당 학회에서 우수논문으로 선정돼 지난 23일 세계 연구자들 앞에서 공식 발표까지 됐으니 국제적으로도 망신살이 뻗쳤다. 논문 표절 의혹은 24일 한 유튜브에서 제기됐는데 10개가 넘는 논문을 짜깁기하는 과정이 자세히 담겨 있다. 윤 교수는 여러 논문을 취합하는 박사과정 재학생인 1저자가 “성과를 내려는 압박 때문에 그런 것 같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연구의 책임자격인 교신저자로서 그의 책임은 가볍지 않다. 논문 작성과 제출, 게재까지 어떤 과정에서도 표절 여부를 검증하지 않은 정황 때문이다.

국내 최고 대학인 서울대에서 이런 안이한 연구윤리의식이 확인된 사례는 처음이 아니다. 교육부가 지난 3년간 2007~2018년 10년간 논문을 조사한 결과 27개 대학의 96건에서 미성년자가 부당하게 저자로 등재된 사실이 확인됐는데, 이 중 서울대가 22건(23%)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2019년에는 표절 논란에 휩싸인 교수가 사직서를 제출하자 정식 제보가 없었다는 이유로 징계절차 없이 단순 사직 처리한 일도 있다.

논문 표절이 근절되지 않는 건 단순히 대학사회의 문제로만 볼 수 없다. 이를 관행이라 넘어가는 사회 분위기가 바뀌지 않는 한 윤리 불감증은 해소될 수 없다. 일례로 국민대와 숙명여대는 대선 전에 불거진 김건희 여사의 석ㆍ박사 논문 부정 의혹 판정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으며, 박순애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자신의 논문을 여러 학회에 중복 게재한 셀프 표절 의혹을 받고 있지만 사퇴를 거부하고 있다. 표절 행위에 대한 대학의 강력한 처벌과 엄격한 사회적 제재 없이 우리 사회는 한 걸음도 더 나아갈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