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 엿새째... 4차교섭도 난항

입력
2022.06.12 17:22
국토부-화물연대 오후 2시부터 협상 중... 해결은 미지수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가 엿새째 파업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정부와 화물연대가 사흘 연속 협상을 벌이고 있다. 양측은 전날 10시간이 넘는 마라톤 협의에도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사흘 연속 교섭 나선 노정... 입장차 뚜렷

국토교통부는 1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화물연대와 4차 교섭을 진행했다. 당초 전날 교섭이 결렬될 때까지만 해도 4차 교섭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는데, 국토부 측에서 이날 오전 급히 자리를 마련해 교섭이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양측은 사흘 연속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았지만, 타협 가능성은 여전히 미지수다. 당장 전날 3차 교섭에 대한 양측의 평가만 봐도 의견차가 뚜렷하다. 화물연대는 국토부가 당초 '안전운임제 연장을 추진하겠다'는 교섭안을 들고 나왔는데, 교섭 도중 돌연 '안전운임제 지속 및 확대 등을 논의할 것을 약속한다'는 안으로 수정했다고 주장했다. 화물연대는 논의만을 약속하는 해당 수정안을 '후퇴됐다'고 평가하며 교섭에 응할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반면 국토부는 화물연대가 물러섬 없이 '안전운임제 일몰 폐지와 품목 확대'라는 기존 입장만 되풀이해 대화가 중단됐다는 입장이다. 양측 모두 교섭 결렬의 책임이 상대방에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파업 장기화에 물류 차질 번져

이번 교섭에서도 타협점을 찾지 못하면 파업 장기화에 따른 여파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미 물류 차질은 전국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국토부 집계 결과 이날 오전 10시 기준 장치율(항만 컨테이너 보관능력 대비 실제 보관비율)은 71.5%로 평시(65.8%)보다 높고, 부산항·울산항 등 일부 항만에서 국지적으로 운송방해행위가 발생해 평시보다 반출입량이 줄었다. 자동차, 철강, 시멘트 등 일부 품목은 생산·출하량이 감소하고 있다.



오지혜 기자
최다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