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전 대통령이 퇴임한 지 한 달 남짓 지났다. "퇴임 후 잊혀진 사람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했던 문 전 대통령의 바람은 아직은 이뤄지지 않은 모습이다. 의도했든 아니든 문 전 대통령의 존재감이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문 전 대통령의 꾸준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활동은 정치권에 소환되는 요인 중 하나다. 소소한 일상 공개가 주를 이루지만 정치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도 내놓는다. 지난 9일 SNS를 통해 김희교 광운대 교수의 책 '짱깨주의의 탄생'을 추천한 것이 대표적이다.
문 전 대통령은 "중국을 어떻게 볼 것이며 우리 외교가 가야 할 방향이 무엇인지, 다양한 관점을 볼 수 있다"며 "언론이 전하는 것이 언제나 진실은 아니다"라고 했다. 이를 두고 문재인 정부의 외교·안보정책 기조를 확 바꾼 윤석열 정부는 물론, 미국과 중국 사이의 균형외교를 지향했던 자신을 '친중 성향'이라고 규정한 언론을 지적했다는 해석이 많다.
문 전 대통령은 지난달 15일 경남 양산 사저 앞 극우·보수단체 욕설 시위에 대해 '반(反)지성'이라고 비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사에서 일부 진보 진영 지지층을 비판하기 위해 동원한 '반지성주의'라는 표현을 그대로 보수 진영에 돌려줬다는 평가가 많다.
문 전 대통령의 최측근 의원은 10일 한국일보와 통화에서 "책 소개를 두고 지나친 해석이 나오고 있다"며 "문 전 대통령은 앞으로도 정치에 일절 개입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내 건재한 친문재인(친문)계도 문 전 대통령 존재감이 발휘되는 배경이다. 친문계는 오는 8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친이재명(친명)계에 대한 견제세력으로 목소리를 높여가고 있다. 의원 수로만 따지면 친명계보다 더 많다. 과거 노무현 대통령이 정권 재창출에 실패한 후 친노무현계 인사들이 스스로를 '폐족'이라 칭하며 정치 행보를 자제했던 것과 사뭇 대조적이다.
한 민주당 의원은 "문 전 대통령은 정권 재창출에 성공하지 못했지만, 측근 비리 없이 끝까지 높은 국정운영 지지율을 유지했고 당과 지지층에 대한 장악력을 잃지 않았던 것이 차이점"이라고 설명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편중 인사'를 정당화하기 위한 근거로 문재인 정부의 과오를 언급하는 것도 역설적으로 문 전 대통령의 존재감을 부각시키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 8일 정부 요직에 검찰 인사를 배치하는 게 아니냐는 취지의 질문에 "과거에는 민변(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출신들이 아주 도배를 하지 않았나"라고 반문했다. 또 7일에는 문 전 대통령의 사저 앞 욕설 시위에 대해서도 "대통령 집무실도 시위가 다 허가되는 판"이라며 현직 대통령 집무실과 전직 대통령 사저를 동일 선상에 올려놓았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조국 사태'를 계기로 불거진 윤 대통령과 문 전 대통령 간 대결구도가 지금까지 유지되면서 문 전 대통령의 존재감을 살리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