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빠르면 일주일 안에 '핵 단추' 누른다... '초읽기' 들어간 7차 핵실험

입력
2022.06.07 20:25
4면
대통령실 "전원회의 전후 가능성"
미국도 "수일 내 핵실험 가능" 경고

북한의 7차 핵실험이 진짜 ‘택일’만 남겨둔 것 같다. 한미와 국제사회 공히 북한의 핵실험을 기정사실화하고 연일 경고 메시지를 발신하고 있다. 관건은 시점이다. 핵실험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로 모라토리엄을 파기한 북한이 쥔 ‘마지막 카드’인 만큼, 정치적 효과를 극대화할 시기를 노릴 것으로 보인다.

한미는 3월 함경북도 풍계리 핵실험장의 준비 정황을 공개한 뒤 요즘 부쩍 관련 언급 빈도를 늘리고 있다.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6일(현지시간) “북한이 수일 내에 7차 핵실험을 추구할 수 있다”고 공언했다. 국무부가 구체적 시점을 명시한 건 처음이다. 전날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도 “풍계리 핵실험장 갱도 중 하나가 재개방됐다”며 핵실험 임박을 확인했다. 사실상 북한 추가 핵실험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뜻이다.

#시나리오 1. 6월 상순... '디데이' 목전에

시나리오는 크게 셋이다. 가장 가까운 결행 시기는 북한 당국이 예고한 ‘6월 상순(15일 기준)’이다. 이때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5차 전원회의가 열린다. 전원회의는 상반기 사업을 평가하고, 하반기 목표를 점검하는 자리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치적으로 포장할 수 있는 핵실험을 선제적으로 감행할 것이란 관측이다. 이 경우 ‘디데이’는 겨우 일주일 정도 남은 셈이다.

회의에서 핵실험 실시에 관한 결정서를 채택한 뒤 행동으로 옮길 수도 있다. 군사ㆍ외교적 수단을 총동원한 한미일의 거센 압박에 맞서 윤석열 정부와 미국을 겨냥한 새로운 대외 기조를 발표하면서 핵실험 강행을 위한 정치적 명분을 쌓는 수순이다. 한미가 북한의 도발에 연합군사훈련 확대와 전략자산 전개 등 강경 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는 만큼, 핵실험을 본격적 대결 국면 진입의 구실로 활용할 전망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한반도 문제의 주도권은 북한에 있다는 점을 재확인할 목적으로 강한 대외 메시지와 함께 핵실험 단행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부도 6월 상순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7일 “(국가안보실에서) 북한이 핵실험을 전원회의 전후에 하지 않을까 보고 있다”고 말했다.

#시나리오 2. 美 독립기념일... 관심 극대화

북한 핵실험의 궁극적 목적이 미국 흔들기에 있는 점을 감안하면 미 독립기념일(7월 4일) 역시 유력한 선택지로 꼽힌다. 전례도 있다. 북한은 2009년 5월 25일 미국의 현충일 격인 ‘메모리얼 데이’ 주간에 2차 핵실험을 단행했다. 또 2006년 대포동 2호, 2009년 노동미사일에 이어 2017년 ICBM ‘화성-14형’을 독립기념일 전후로 발사해 미국의 관심을 끄는 데 성공했다. 미 동맹 정상들이 대거 모이는 이달 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ㆍ나토) 정상회의도 북한이 핵실험 시점을 저울질할 국제 이벤트다.

#시나리오 3. 변수는 코로나와 장마

변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등 내부 문제다. 북한은 코로나19 확산세가 꺾였다고 주장하나, 백신은 물론 의료ㆍ방역물품ㆍ식량 부족 등 여건은 좀체 나아지지 않고 있다. 민심도 출렁이고 있다. 특히 핵실험은 ‘김정은 체제’의 생존과 직결된 이슈라 미사일 시험발사와 달리 주민들에게 알리는 게 관행이다. 섣불리 핵실험을 감행했다가 민생은 외면하고 체제 유지에만 골몰한다는 불만이 폭증할 우려가 적지 않다.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이 결단을 망설일 경우 장마 등 기상 이변에 따라 핵실험 시기가 훨씬 뒤로 늦춰질 수 있다는 진단도 내놓는다. 핵실험에 뒤따르는 장비 손상과 방사성 물질 유출 등 부작용을 최소화하려면 장마 기간을 피하는 게 유리하다.

김민순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