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 양국의 서로에 대한 신뢰도가 소폭 상승했다. 일본에 대한 신뢰도가 지난해 18.6%에서 올해 25%로, 한국에 대한 신뢰도도 지난해 28%에서 1년 만에 30%로 각각 올랐다.
이런 경향은 지난 아베 신조 내각의 한국 수출규제 조치 이후 최악이던 신뢰도가 이후 조금씩 회복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2019년 23.1%에 달했던 일본에 대한 신뢰도는 2020년 14.1%로 뚝 떨어졌다가 지난해 18.6%로 소폭 회복했다.
양국 정권 교체가 한일관계 개선 기대감을 높인 영향으로 풀이된다. ‘윤석열 정부 출범으로 한일관계가 좋아질 것’이란 응답이 과반(52.9%)에 달해, 지난해(28.9%)보다 대폭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에서 ‘향후 한일관계가 좋아질 것’이란 전망도 14%에서 31%로 오른 점 또한 작년 10월 출범한 기시다 후미오 내각에 대한 기대감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한일관계에 장밋빛 전망을 내놓기에는 대일관계에 한국인의 요구가 단순하지 않다. 특히 과거사 갈등 해소와 관련해 ‘한국이 양보하지 않아야 한다’는 응답이 지난해보다 2.1%포인트 늘었다(79.4%→81.3%). 관계 개선을 기대하지만, 동시에 과거사 문제에 할 말은 해야 한다는 의견을 동시에 표출한 셈이다. 상대와 협력하면서도 요구할 것은 당당하게 요구하는 이른바 ‘중견국 멘탈리티’의 발현으로 해석된다.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접점은 양국 대외관계에서 찾아볼 수 있다. 대외 국가 인식 면에서 러시아·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미국과의 공조 필요성에 한국 응답자의 76.5%, 일본 응답자의 67%가 동의했다. 북한 핵과 미사일에 위협을 느낀다는 인식도 한국(64%)과 일본(76%) 모두 높았다. 러시아·중국·북한 문제에 양 국민의 위기감이 높고, 미국과의 공조를 통해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협력의 접점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는 얘기다.
다만 우리 국민은 북한과의 대화도 중요하게 여겼다. 북한의 핵 미사일 개발 포기를 위한 방법으로 ‘대화’를 중시하는 한국인의 응답은 지난해 42%에서 올해는 57.6%로 껑충 뛰었다. 이에 반해 일본에서는 ‘압박’ 중시가 47%에서 52%로 늘었다. 올해는 이 설문에서 ‘어느 쪽이라 말할 수 없다’는 선택지가 빠졌다는 점은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