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무역적자 늪에 빠지고 있다. 월간 최고 수출액을 기록하고도 에너지와 농산물, 광물 등 국내 산업을 이끄는 필수 자원을 수입하는 데 드는 돈이 훨씬 늘어나면서다. 정부는 수출 활력을 키워 무역수지를 개선하겠다는 계획이지만, 국내 연구기관 등에선 에너지 가격이 안정될 기미조차 보이지 않는데다 글로벌 공급망 또한 불안해 무역적자 장기화에 접어들 수 있다고 경고한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5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지난달 수출액(통관기준 잠정치)은 615억1,7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1.3% 늘었음에도 수입액이 같은 기간 32% 늘어난 632억2,200만 달러를 기록, 17억500만 달러의 무역적자를 냈다. 수출이 전력질주를 해도, '수입액 맞바람'이 워낙 커 무역수지가 뒷걸음질 친 모습이다.
1월 적자(48억9,000만 달러)로 새해를 출발한 무역수지는 2월(9억 달러)과 3월(2억1,000만 달러) '반짝 흑자'를 냈지만, 4월부터 다시 적자로 돌아섰다. 원유와 가스, 석탄으로 꼽히는 3대 에너지 수입 가격이 전체 수입액을 끌어올린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달 3대 에너지 수입액은 지난해 동기(80억 달러) 대비 67억5,000만 달러 늘어난 147억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에너지원뿐 아니라 농산물과 광물 가격도 덩달아 뛴 점도 무역적자 원인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산업부에 따르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심화, 북미·아르헨티나 지역 가뭄, 중국의 주요 도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봉쇄 조치에 따른 파종 차질 등 주요 세계 곡창지대에서 빚어진 악재가 겹치면서 밀, 옥수수 등의 가격이 크게 올랐다.
지난달 농산물 수입액은 24억2,000만 달러를 기록, 3개월 연속 20억 달러대를 유지했고, 알루미늄과 구리 가격 또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0.2%, 25.7% 뛰는 등 수입액 증가를 부추겼다. 최근 미국 서부텍사스유(WTI)를 비롯한 국제유가가 배럴당 120달러 선까지 뛴 데다 당분간 농산물 공급 안정 또한 기대하기 어려운 탓에 무역수지 회복 전망 또한 어둡다는 게 업계 관측이다.
문제는 수입액 증대 폭을 상쇄하는 데 큰 역할을 한 국내 수출 환경도 갈수록 불투명하다는 점이다. 산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수출 호조의 배경과 함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4월 통관 수출 금액(경상 달러 기준)은 12% 이상 증가했지만, 수출 물량은 0.4% 감소했다. 실질적인 수출의 증가가 아니라, 국제적인 물가 상승으로 수출 가격이 오른 덕에 수출액이 커진 거란 얘기다.
산업연구원은 "최근의 수출 호조와 달리, 앞으로의 교역 환경 전망은 단기적으로나 중장기적으로 모두 그다지 밝지 않다"며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고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진정되지 않을 경우 세계 경제는 1970~80년대와 유사한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또 다른 보고서인 '2022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을 통해선 올해 무역수지가 지난해보다 크게 떨어져 158억 달러 적자를 낼 것으로 봤다.
정부는 최근 무역적자가 우리나라 사정만은 아니란 점을 강조하면서, 수출 경쟁력을 더 키워 무역수지를 개선하겠단 뜻을 밝혔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우리 경제 엔진인 무역이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도록 기업이 직면한 금융·물류 상황을 분석하고 업종별 특화 지원 등 수출 지원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