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원주민 작가 도리스 필킹턴 가리마라를 소개하며, 호주 정부가 원주민 아이들을 집단시설에 강제수용해 백인화하려 한 역사를 소개한 바 있다. 호주 정부는 1910년부터 60여 년간 최소 10만 명의 원주민성을 '세탁'하려고 했고, 기억과 정체성을 강탈당한 이른바 '도둑맞은 세대(Stolen Generation)'는 원주민·백인 사회 어디에도 온전히 편입되지 못하는 이방인으로 차별과 불이익을 겪어왔다.
저 야만의 역사에 대한 저항은 1930년대부터 이어져, 원주민 인권운동가들은 1938년 1월 26일을 '애도의 날(Day of Mourning)'로 기념했다. 1788년 그날 죄수들을 태운 영국의 첫 배가 귀양지 호주에 닿았다.
의회 첫 공식 조사 보고서가 1997년 5월 26일 발표됐다. 보고서는 도둑맞은 세대의 트라우마와 고통을 정부가 인정, 사과하고 치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하지만 당시 자유당 정부는 '사과(Sorry)' 대신 '유감(regret)'을 표명했다. 존 하워드(1996~2007 재임) 총리는 "의도는 선했던 만큼 사죄까지 할 일은 아니다"라며 "흑인 완장을 찬 역사의 견해에 결코 동조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가의 공식 사죄는 11년 뒤인 2008년 2월 13일, 노동당 총리 케빈 러드(2007~2010, 2013)의 의회 연설로 비로소 이뤄졌다.
호주 정부와 의회는 보고서가 나온 5월 26일은 공식 '국가 사죄의 날(National Sorry Day)'로, 2005년부터는 국가 치유의 날(National Day of Healing)로 기념한다. 러드 전 총리의 의회 연설을 기념해 2월 13일을 '국가 사죄의 날(National Apology Day)'로 기념하는 이들도 있다. 호주 정부는 지난해 1월 호주 국가(國歌, Advance Australia Fare) 2절 가사 중 '젊고 자유로운(young and free)'을 '하나로 자유로운(one and free)'으로 변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