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사태 2년 4개월간 유지해 온 거점전담병원과 코로나 병상을 단계적으로 해제, 7월에 일반 의료체계로 완전히 전환한다. 일상회복과 함께 의료체계도 코로나19 이전으로 되돌아가는 것으로, 공공의료기관의 일반환자 치료 제한도 사라진다. 다만 윤석열 정부가 강조해 온 '고위험군 패스트트랙(확진 판정 즉시 처방·입원)' 안착을 위해 지역 거점별 일부 병상은 유지한다.
19일 방역당국과 수도권 공공의료기관에 따르면 중앙사고수습본부는 각 거점전담병원에 '6월 내 지정 병원·병상 해제 계획' 관련 공문을 보냈다. 중수본은 4월 말부터 각 의료기관과 축소 방안을 조율해 왔다. 병상 수가 많은 의료기관은 한꺼번에 전환할 수 없기에 단계적으로 줄이게 했다.
수도권의 한 거점전담병원 관계자는 "6월 말까지 일반 병상 전환 지침이 내려온 뒤 축소 계획을 짰다"며 "같은 지역 내 다른 병원들도 준비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 병상은 환자 상태에 따라 중증, 준중증, 중등증, 경증으로 나뉜다. 중증 병상은 중환자 전담치료병상을 쓴다. 중환자보다 상태가 덜 나쁜 준중증은 준중환자 병상을, 중등증은 감염병전담병원, 경증은 생활치료센터에서 치료받는다.
방역당국은 중환자 관리를 위해 중증·준중증은 병상 일부를 남긴 채 시차를 두고 없앨 계획이다. 반면 치명률이 낮은 오미크론의 특성을 고려해 중등증 병상은 6월 내 폐지, 생활치료센터는 5월 안에 없애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이번에 2차 추가경정예산안을 제출하면서 병상 지정에 따른 손실보상금 지급 비용도 담았는데, 6월까지 단계적으로 감축하는 값을 계산해 반영했다. 다만 재유행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정부가 지침을 내리면 '1주일 내 코로나 병상 원상복구'를 조건으로 걸었다.
거점전담병원 중 규모가 가장 큰 국립중앙의료원은 이미 일반 병상 체제로 전환했다. 중앙의료원은 앞서 4월 20일 서울시에 중증·준중증 전담치료 병상 지정 해제를 신청했고, 4월 말 지정 해제를 통보받았다. 엔데믹(풍토병화)까지 최후의 거점전담병원으로 운영될 것 같았던 중앙의료원이 예상보다 빨리 바뀐 만큼, 다른 공공의료기관의 전환 시점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 출범 초기부터 내세운 고위험군 패스트트랙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중등증 병상과 생활치료센터는 지역 거점별 소규모로 남길 방침이다. 중등증 병상은 병동 전체가 거점전담병원으로 지정된 곳만 일부 남긴다. 다른 지역보다 치료 여건이 좋지 않은 광주·제주의 중등증 병상도 당분간 유지한다.
정부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시절부터 패스트트랙을 강조해 왔다. 60세 이상 고령층·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이 신속히 치료받도록 확진 판정 즉시 처방·입원이 이뤄지는 체계다. 남은 중등증 병상과 생활치료센터를 이때 활용한다는 계산이다. 중수본 관계자는 "병상은 많이 줄여나가겠지만, 거점전담병원은 올 연말까지 정부와 계약된 상태라 유행 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