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민주화운동 42주년 다음 날인 19일 오전, 백발 노인이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경찰관 묘역 앞에서 고개를 숙였다. 참배자는 42년 전 광주에서 시민군이 탄 버스를 운전했던 배모(77)씨, 장소는 정충길 경사와 이세홍·박기웅·강정웅 경장이 안장된 묘소였다.
배씨가 추모한 고인 4명은 5·18 당시 광주로 파견된 함평경찰서 소속 경찰관들이었다. 이들은 1980년 5월 20일 밤 광주 광산동 노동청 인근에서 경찰 저지선을 구축하다가 돌진한 시위대 버스를 미처 피하지 못하고 현장에서 순직했다. 다른 경찰관 7명은 부상했다. 모두 "시위대를 강경하게 진압하지 말라"는 고(故) 안병하 치안감의 지시를 따르던 중이었다.
사고를 낸 버스 운전사가 바로 배씨였다. 그는 이날 현충원에서 순직 경찰관 유가족 7명을 만나 직접 사죄했다.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진상조사위)가 조사 과정에서 사건 당사자들의 의사를 확인하고 주선한 자리였다.
배씨는 묘비를 하나씩 쓰다듬으며 고인들에게 용서를 구했다. 이어 경찰충혼탑 앞 만남의 장으로 이동한 배씨는 정충길 경사와 이세홍·강정웅 경장의 유족과 일일이 손을 맞잡고 사과했다. "어떻게 말씀을 드려야 좋을지,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고 얼굴을 들 수가 없습니다. 나는 살아있는데, 돌아가신 분은 유족들은 어쩝니까. 너무 죄송합니다."
유족 대표를 맡은 정충길 경사의 아들 원영(54)씨는 "당신 책임이라고 말하고 싶진 않지만 너무나 힘들었다. 우리 어머님들과 자녀들의 삶은 온전히 무너지고 파괴됐다"면서도 "배 선생님도 쉽지 않았을 거란 거 안다. 없었어야 할 일이었고 현대사의 큰 아픔이다"라며 화해의 뜻을 밝혔다.
정 경사의 부인 박덕님(82)씨는 지난 세월을 떠올리며 연신 눈물을 훔쳤다. 박씨는 "광주 시민과 학생들을 보호해 주려고 간 건데, (경찰이) 사람들을 죽였다고 하니 고개를 들고 살 수가 없었다. 죄인 아닌 죄인이 됐다"며 "우린 (국가에서) 명예회복을 안 해주는 게 가장 억울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배씨에겐 "선생님이야말로 그렇게 하고 싶어서 했겠냐. 상황 때문에 그렇게 된 거 다 안다"며 "다 풀어버리고 건강하게 오래 사시라"며 위로했다.
배씨는 당시 사건으로 살인·소요 혐의를 받고 그해 재판에 넘겨졌다. 그는 "야간이었고 최루가스가 버스 안으로 들어와 눈을 뜰 수 없었다"고 진술했지만, 전투교육사령부 계엄보통군법회의에서 열린 1심과 이듬해 3월 항소심에서 각각 사형을 선고받았다. 배씨는 무기징역으로 감형됐다가 1982년 12월 특별사면 조치로 석방됐고, 1998년 7월 재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