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신교통수단으로 ‘트램’(Tram) 도입 계획을 법정계획에 잇따라 반영시키면서 사업 추진 의지를 공식화했다. 하지만 그동안 경제적 타당성 때문에 두 차례나 찬반 갈등만 일으키고 물거품으로 끝났던 트램 도입 계획을 재추진키로 하면서 논란이 일 전망이다.
18일 제주도에 따르면 제주도 교통위원회는 최근 전체회의를 개최해 법정계획인 ‘제4차 대중교통계획(2022~2026년)’안을 심의, 의결했다.
도는 이번 계획에 15대 추진전략 및 28개 추진과제를 제시했고, 이 중 트램 도입도 포함시켰다. 도는 트램을 대중교통 수단을 넘어 도시재생, 역세권과 주변 지역 개발 측면까지 고려해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또 제주시 원도심 뿐 아니라 서귀포시 도심, 신화역사공원, 영어교육도시 등 제주 전역을 대상으로 검토할 방침이다.
도는 앞서 지난 1월 확정한 제주도 최상위 법정계획인 '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2022~2031년)'에서도 트램을 반영했다. 해당 계획에서 도는 제주신도심(신제주)~제주공항~원도심~제주항을 연결하는 약 18㎞ 구간에 신교통수단인 ‘트램’을 도입키로 했다. 사업비 규모는 3,641억 원에 이른다.
도가 트램을 법정계획에 잇따라 반영하면서 사업 추진에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도입 과정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앞서 트램 도입 논의가 이미 두 차례나 실패로 끝난 전력이 있기 때문이다. 2010년 우근민 전 제주지사가 공약 사업으로 트램 도입을 적극 추진했다. 하지만 당시 '신교통수단 타당성 검토 용역'에서는 트램을 설치하는데 드는 초기 비용이 최소 1,000억 원에서 2,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여기에 토지 보상을 더하면 천문학적 예산 투입이 우려돼 찬반 논란이 빚어졌고, 결국 도민 여론이 악화되자 2년 만에 트램 도입 공약을 공식적으로 파기했다. 2016년엔 원희룡 전 제주지사가 ‘제주교통 혁신계획’을 발표하면서 트램, 모노레일 등 신교통수단 도입을 검토하겠다고 밝히면서 다시 논란이 일었다. 그러나 4년 전과 마찬가지로 경제적 타당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도입 계획은 다시 보류됐다. 트램 도입 투자 비용이 10㎞ 노선 기준 약 4,000억 원에 달하고, 지가 상승 등으로 현실적으로 도입이 어렵다는 의견이 우세했기 때문이다.
실제 트램과 비슷한 형태의 교통수단인 경전철은 이미 다른 지역에선 막대한 적자로 골칫거리가 됐다. 제주도의 트램 사업도 총 사업비가 수천억 원에 달해 사업비 확보와 수요 예측을 통한 경제성 확보 등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도민 공감대를 이끌어 내기도 쉽지 않을 전망이어서 향후 상당한 논란이 예상된다.
도는 트램 도입 외에 제4차 대중교통계획 추진과제에 △제주교통공사 설립 및 운영 △대중교통우선차로 단계별 구축 및 추가 구간 발굴 △대중교통 이용 확인 시스템 구축 및 교통유발부담금 감면 추진 △대중교통 노선 지속 조정 추진 △대중교통 준공영제 지속 개선 추진 △환승 센터 구축 추진 △섬주민 여객선 운임 지원 추진 등을 포함했다. 제주도는 국토교통부 검토과정을 거쳐 '제4차 제주도 대중교통계획'을 확정·고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