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후 올해 2월까지 장기간 계속된 일본 정부의 외국인 신규 입국 금지 정책은 ‘코로나 쇄국’이라 불리며 주목을 끌었다. 일본에 돌아가지 못하는 해외 유학생 등이 자국 주재 일본대사관 앞에서 ‘스톱 재팬스 밴’(Stop Japan’s Ban: 일본은 입국 금지를 멈춰라) 시위를 벌이는 풍경도 벌어졌다. 그러나 일본 내에선 이 정책이 큰 지지를 받았다. 아사히신문이 그 배경에 대해 7일 전문가 분석을 전했다.
가쓰다 요시아키 간사이복지대학 교수는 일본인의 강한 위험 회피 성향을 ‘제로 리스크 신앙’이라 명명해 원인을 찾았다. 감염증과 관련해선 국적을 불문하고 ‘저쪽에서 온 사람이라 걱정’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외부 사람에 대한 일본인의 대접은 차갑다. 가쓰다 교수는 혹시 ‘무슨 일이 생기면 어떻게 할 거냐’라는 성향이 실패를 극도로 싫어하는 관료제도나 결단이 늦어지는 정치, 기업경영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가 “검역은 ‘제로 리스크’를 보증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벌기 위한 것”이라고 제대로 알려야 입국 금지 조치를 하더라도 적절할 때 해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질병통제예방센터(CDC) 같은 조직을 만들어 과학적으로 국민과 소통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다.
사회심리학자인 무라야마 아야 긴키대 교수는 일본인들이 공동체 밖 사람에 대해 무관심한 경향이 있다는 점을 들었다. 유럽처럼 육로로 국경을 넘나드는 경우와 달리 일본은 섬나라로 해외에 대한 관심이 낮고 여권 소지율도 높지 않다고 설명했다.
일본인은 미래를 장기적으로 전망하는 경향도 덜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고 무라야마 교수는 지적했다. 유학생을 받아들이면 감염 확대 위험도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모국과 일본 간 가교 역할을 해주는 장점이 있는데, 이런 이익을 생각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자연 재해가 많은 일본의 환경으로 인해 미래를 내가 좌우할 수 있다는 신념이 미국 등에 비해 낮다고 한다. 성공이나 성장을 바라기보다는 ‘실패하고 싶지 않다’는 의식도 강하다. ‘눈앞의 나쁜 일은 피하고 싶다’는 심리가 '코로나 쇄국정책' 지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국제정치학자인 야카기시 다카카즈 난잔대 국제센터장은 일본이 유학생을 바라보는 관점이 미국과 다르다고 지적했다. 미국 등 외국 대학은 자국 학생에 대해선 장학금을 주는 반면, 유학생은 학비를 전액 지불하고 오는 경우가 많아 대학 재정에 귀중한 존재다. 하지만 일본의 대학은 정부가 정한 목표에 따라 캠퍼스의 다양성을 높이기 위한 취지로 유학생을 받아 장학금이나 수업료 할인을 해준다. 야카기시 교수는 일본에서 유학생의 진정한 의미도 아직 이해되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미국에선 유학생이나 이민자의 자손이 미국을 대표하는 기업을 이끌게 되거나 세계적 비즈니스를 창업하기도 해 ‘유학생이 나라의 활력과 직결된다’는 믿음이 있다고 일본과 대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