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지난해 충청권에서 유일하는 인구가 순유출되는 등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자 새로운 출산 지원책을 도입하고, 인구정책 총괄 기구를 가동하는 등 인구 늘리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대전과 세종, 충남, 충북 등 4개 시·도에는 1만7,138명이 순유입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세종은 1만4058명이 유입돼 가장 인구가 늘어난 반면, 대전은 8,931명이 순유출돼 유일하게 인구가 감소했다. 충남은 8,522명, 충북은 3,462명이 각각 늘었다.
대전은 충청권에서 가장 큰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2014(153만명)년부터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2021년 인구는 145만명으로 쪼그라들었다. 이런 인구 감소율은 6대 광역시 가운데 가장 높다. 인근 세종시로의 인구 유출과 저출산 현상이 겹친 탓이다. 2020년에는 '인구 데드 크로스(사망자가 출생아보다 많이 인구가 자연감소하는 현상'가 처음 발생했다. 이는 대전에선 대학을 졸업한 20대 후반에서 40대까지 청장년 층의 이탈이 큰데 따른 것으로 대전시는 분석했다.
5개 자치구 가운데 동구와 중구, 대덕구는 행정안전부가 지정한 2021년 인구 감소 지수가 높은 18곳의 시·군·구에 포함되기도 했다.
대전시는 이러다 자칫 인구절벽이 닥칠 것이라는 위기의식이 커지자 인구 늘리기에 팔을 걷어부쳤다.
대전시는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시는 올해부터 ‘대전형 양육 기본수당’을 지급하고 있다. 이 수당은 소득 수준이나 출생 순위 등 어떤 조건에도 관계없이 지난 1월 출생아부터 생후 36개월까지 매월 30만원씩 지급한다.
대전시는 1조원 규모로 편성된 정부의 '지방소멸 대응기금' 확보를 위한 인구정책도 마련 중이다. 정부가 균등배분이 아닌 각 사업에 따라 차등 배분하겠다는 방침을 세운 만큼 실효성 있고, 차별화된 정책을 만드는 게 관건이다. 대전시는 현재 최소 110억원에서 최대 230억 원 규모의 사업계획서를 준비 중이다. 다만 5월까지 계획서를 제출해야 해 일정이 빠듯한 상황이다.
대전시는 지역 실정에 맞는 종합적인 인구정책을 구현하고 시책발굴을 자문할 인구정책위원회도 5일부터 가동했다. 각 분야 전문가와 언론인, 청년단체 등 28명으로 구성된 정책위는 시행계획 의결, 시책 발굴, 예산편성 자문, 성과 평가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날 부회장으로 선출된 최종인 한밭대 부총장은 "대전은 한강 이남에서 단위면적당 대학이 가장 많은 광역단체로, 지자체와 대학이 청년 고용과 산업 육성에 협력하면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