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고려 유적 '김포 대능리토성'서 개흙 속심·문터 발견... 학술적 가치 커

입력
2022.03.31 17:25

통일신라시대에 쌓은 김포 대능리토성에서 개흙으로 만든 성벽과 고려시대에 개축한 문 터(문지)가 발굴됐다. 당시 희귀한 축조 방법인 데다 고려의 토성 중 문지가 발견된 건 드문 일이라 학술적 가치가 크다.

한국문화재재단은 경기 김포시 대곶면 대능리 일원에 위치한 대능리토성에서 지난해 10~12월 발굴조사를 진행한 결과 성벽과 남쪽 문지 구조를 확인했다고 31일 밝혔다. 확인된 성벽은 길이 38m, 너비 12.5m, 잔존 높이 2.7m다. 다진 땅 위에 개흙 성분의 반원형 속심을 만들고 돌과 나무로 지지력을 높이는 구조물을 세운 뒤 모래와 점토 성분이 있는 사질점토를 2~20㎝ 두께로 반복해 쌓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독특한 개흙 속심은 성벽의 응집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성 안에 있는 저수지에서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는 게 재단 측 설명이다.


조사 지역 남쪽 문 터에서는 기단석렬(다진 지면에 돌을 쌓아 경계를 만든 시설물)과 문을 고정하는 돌인 문확석, 문기둥을 지탱하는 돌인 문설주석, 통로부에 깐 얇은 돌 등이 나왔다. 기단석렬이 두 겹인 점으로 미뤄 문을 한 차례 고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유물은 고려시대 기와가 나왔고, 성문 너비는 3.2m 정도다. 재단 관계자는 "고려시대 토성 중 문터 위치와 규모를 파악한 사례는 강화중성과 제주 항파두리성에 이어 세 번째일 정도로 매우 드물다"고 했다.

둘레 1,140m인 대능리토성은 경기도기념물인 '김포 수안산성' 인근에 있다.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 초기까지 김포 일대를 아우른 수안현의 행정 중심지이자 해안 방어를 위한 성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권영은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