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와 노령화로 골칫거리인 빈집이 전남지역 농어촌은 물론 중소도시까지 늘어나 거의 2만호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전남도 등에 따르면 도 감사관실에서 지난해 8월부터 올해 1월 말까지 빈집 정비과 활용실태에 대한 감사를 진행한 결과, 도내 22개 시·군에서 총 1만9,727호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철거형은 1만1,003호(55.8%), 활용형은 8,724호(44.2%)이다.
도가 빈집 자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등급으로 분류한 결과 즉시 거주가 가능한 1등급은 2,110호(10.7%), 주택 상태가 양호한 2등급은 5,112호(25.9%), 상태가 불량한 3등급은 5,925호(30%), 매우 불량한 4등급은 6,478호(32.9%), 기타 102호(0.5%)로 집계됐다.
특히 3, 4등급이 전체의 63%를 차지해 도내 빈집의 불량도가 매우 높은 수준이다. 빈집 소유자가 철거와 활용에 동의한 경우는 2,835호로 전체의 14.4%에 불과해 소유자의 철거·활용 부동의가 큰 문제점으로 파악됐다.
도는 지붕이 주저앉고 수풀이 무성하게 자라면서 폐허나 다름없는 빈집이 최근 사회·환경적인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 석면 재질의 슬레이트 구조 빈집이 9,032호나 방치돼 농어촌의 생활환경을 저해하고 주민의 건강에 심각한 악영향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슬레이트 빈집 철거비도 267억 원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 환경부 등에 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다.
또 도가 22개 시·군의 빈집정책을 분석한 결과 △빈집 정비계획 미수립 및 조례 정비 노력 부족 △형식적인 실태조사 실시 등의 문제점을 찾아냈다. 이에 빈집의 44%인 8,700여 호를 리모델링을 통해 귀농·귀촌인에 빌려줘 주거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인구늘리기 정책으로 전환하고, 도시지역은 도시재생사업 등과 연계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전남도 관계자는 "급속한 빈집 증가는 지역소멸의 징후인 만큼 시급히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사회문제 중 하나"라며 "올해부터 집행하는 '지방소멸대응기금을 빈집 정비 및 활용 사업에 반영되도록 중앙정부에 적극 건의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