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국정 수행을 잘할 것이란 여론조사 응답이 절반을 겨우 넘었다. 역대 대통령 당선인에 대한 기대치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0.7%포인트라는 역대 가장 적은 표차에 이어 당선 컨벤션 효과도 없는 것이다. 국민 절반의 냉랭한 시선이 상당한 부담이겠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입에 쓴 보약이 될 수도 있다.
□ 14일 공개된 리얼미터 조사에 따르면, 윤 당선인의 국정 수행에 대해 ‘매우 잘할 것’은 35.2%, ‘약간 잘할 것’은 17.6%로 긍정적 응답이 52.7%였다. 부정적 응답은 41.2%(별로 잘하지 못할 것 12.2%, 전혀 잘하지 못할 것 29.0%)였다. 윤 당선인의 대선 득표율(48.56%)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수치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47.83%)를 찍은 유권자들의 반감과 경계심이 여전한 셈이다.
□ 이는 상당히 이례적인 현상이다. 역대 대통령들은 절반에 못 미치는 득표를 했더라도 컨벤션 효과로 지지율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2017년 문재인 당선인이 41%의 득표율을 올렸지만 당선 직후 국정 수행을 잘할 것이란 응답은 74.8%를 기록했다. 2012년 대선 직후에도 박근혜 당선인에 대한 긍정적 전망은 64.4%였고 이명박 당선인은 79.3%였다. 김영삼·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도 취임 초기에는 60~70%의 높은 지지율을 보였다. 윤 당선인이 이를 누리지 못하는 것은 진영 대결이 고착화된 신호일 수 있지만, 애당초 능력에 대한 기대치가 높지 않았기 때문으로 볼 수도 있다. 지지자들도 선거 과정에서 지지 이유로 가장 많이 꼽은 게 능력이 아니라 정권교체라는 명분이었다.
□ 컨벤션 효과가 없는 게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다. 기준이 낮은 까닭에 국정 수행을 조금만 원만히 수행해도 평가가 달라질 수 있다. 컨벤션 효과 대신 기저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이다. 민주화 이후 대통령들에 대해 늘 열망과 실망의 악순환이 반복됐다. 윤 당선인이 이 사이클을 깰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 하지만 반전에 성공하지 못한다면, 어쩌면 대통령제 자체에 대한 국민적 회의감이 커질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