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의 생명줄 팔당호를 끼고 있어 수도권 최대 상수원 보호구역(83.63㎢)을 보유한 경기 광주시. 그러나 정작 상수원 지역임에도, 광주시 일부 지역에는 여전히 수돗물 공급이 안 되는 곳이 적지 않다. 도심과 멀고 가구 수가 적어 수도관이 들어가지 않는 이들 지역은 여전히 지하수를 식수 등으로 활용한다.
물이 넘치는 지역에 물 공급이 부족한 이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광주시가 상수도 장기종합계획을 세워 상수도 소외 지역의 식수 공급 문제를 해결하기로 했다.
14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시 상수도 보급률은 지난해 말 기준 92.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수원을 보유한 지역임에도 전국 상수도 보급률(2019년 99.3%)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수돗물 공급이 안되는 이유는 가구수가 10~20세대에 불과한 마을이 여기저기에 산재해 있기 때문이다. 이들 마을에 별도의 상수도관을 설치하는 예산 편성이 쉽지 않다는 얘기다.
광주시는 상수도 보급률을 높이기 위해 2019년 수도정비 기본계획을 수립, 2020년 108억 원, 지난해 129억 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시는 지난해 말 퇴촌면 영동2리(15세대)에 5억 원을 투입해 수돗물을 공급했고, 등 퇴촌면 영동·원당리, 도척면 방도·도웅리, 곤지암읍 유사·삼합리 등 일부 지역에도 우선적으로 상수도를 보급했다. 시는 올해도 30억 원을 투입해 오지마을을 중심으로 수돗물 공급을 늘려간다는 계획이다.
광주시는 이와 별개로 2020년 제3정수장 하루 용량을 4만㎥에서 2배 늘렸고, 내년까지 취수용량 하루 33만㎥ 규모인 광주·용인공동취수장의 용량을 40만㎥ 규모로 증설하는 계획도 세웠다. 또 749억 원을 투입해 오포·쌍령2·태전·쌍동·양벌 등에 5만3,000㎥ 규모의 배수지를 확보하기로 했다.
신동헌 광주시장은 “상수원지역에 위치한 광주시에 아직도 수돗물을 공급받지 못하는 곳이 있다는 말을 처음 듣고 당황스러웠다”며 “2025년까지 보급률을 94.7%까지 끌어올리는 등 더 많은 가정에 안전한 수돗물 공급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